내가 찾은 관광명소/강원&충청권

(영월) 신선을 맞이하는 바위! 요선암과 요선정

왕마구리 2013. 8. 29. 22:21

이번 탐방은 여름휴가를 맞아 강원도 영월과 충청북도 제천의 유명 관광지를 둘러보기로 하고 2박3일간의 일정으로 탐방을 하였다.

여름 폭염으로 야외활동하기에는 부적함한 날씨에, 장마가 끝나가는 시기인지라 예측할 수 없는 소낙비가 자주 내려 제대로 된 관광지 탐방에는 약간의 어려움이 있었지만 탐방하였던 영월과 제천의 관광지를 총 10편으로 나누어 간략하게 소개를 하기로 한다.

 

- (영월)신비로운 자연의 진풍경! 한반도 지형

- (영월)서강과 어우러진 한 폭의 수묵화! 선돌

- (영월)단종의 슬품을 간직한 육지속의 작은 섬! 청령포

- (영월)세계유산 조선왕릉! 장릉(莊陵)

- (영월)단종의 얼과 혼이 숨쉬는 곳! 단종 관련 유적 : 보덕사&금몽암, 관풍헌&자규루, 충절사&영모전, 금강정&민충사(낙화암)

- (영월)우리나라 5대 적멸보궁의 하나! 법흥사

- (영월)신선을 맞이하는 바위! 요선암과 요선정 : 요선정, 무릉리 마애여래좌상

- (제천)삼한시대 축조된 가장 오래된 저수지! 의림지와 제림

- (제천)모전탑의 진수! 장락동 칠층모전석탑

- (제천)제천근교의 유일한 유원지! 탁사정

 

【 일 정 표 】2013년 8월 4일(일)-6일(화) 2박3일

                     ◈ 첫째날(8/4) 오후 : (영월)한반도지형-선돌-장릉-보덕사&금몽암-청령포

                     ◈ 둘째날(8/5) : (영월)관풍헌&자규루-충절사&영모전-금강정&민충사(낙화암)-요선정-법흥사-(제천)의림지(야경)

                     ◈ 세째날(8/6) : (제천)의림지-장락동 칠층모전석탑-탁사정

 

◀ 신선을 맞이하는 바위! 요선암과 요선정 

주천강의 아름다운 풍경과 어우러진 곳!

 

♧♧ 요선정(邀仙亭)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41호(1984년06월02일 지정)

*소재지:강원도 영월군 수주면 무릉리 산139

 

 

남한강의 한 갈래인 주천강 상류, 풍경이 아름다운 강가에 자리잡고 있으며 요선암이라고도 불린다.

1915년 이곳 주민들이 정자를 세우고 주천 청허루에 보관되어 있던 숙종의 친필시를 이곳에 모셨다. 건물은 정면 2칸, 측면 2칸이며, 지붕은 팔작지붕이다. 정자의 앞쪽 오른쪽에는 이응호가 쓴 '요선정', 왼쪽에는 '모성헌'이라 적힌 현판이 걸려 있고, 그외에 홍상한이 쓴 청허루중건기, 요선정기, 중수기가 걸려 있다.

주위에는 석탑과 마애불이 있어 암자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 요선정에서 바라본 전경

                   ▲ 요선정 아래로 흐르는 주천강

                  ▲ 요선정과 주변의 석탑과 마애불

 

♣ 영월 무릉리 마애여래좌상(寧越 武陵里 磨崖如來坐像)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74호호(1982년11월03일 지정)

*소재지:강원도 영월군 수주면 무릉리 산139

 

 

 

영월군 주천강이 흐르는 곳에 위치한 요선정이라는 정자 동쪽에 있는 커다란 바위에 새겨진 높이 3.5m의 마애불이다.

타원형의 얼굴에는 양감이 풍부하여 박진감이 넘치고 있고, 묵직한 옷은 양 어깨에 걸쳐 입고 있으며 간략한 옷주름을 선으로 새기고 있다. 두 손은 사실적으로 표현하였는데, 오른손은 자연스럽게 펴서 손등을 보이고 왼손은 오른손과 평행하게 들고 있다.

부처의 몸에서 나오는 빛을 형상화한 광배는 연꽃무늬가 도드라지게 새겨진 머리광배와 2줄의 선으로 표현된 몸광배를 갖추고 있다.

하체는 지나치게 크게 표현하여 전체적인 균형을 잃고 있으며, 불상이 앉아 있는 대좌에는 연꽃무늬가 도드라지게 새겨져 있다. 상체의 표현이 사실적이고 박진감이 넘쳐나지만 지나치게 커진 무릎이 불균형스러운 모습을 보이고 있는 이 불상은 고려시대 영월지방의 대표적인 마애불상으로 보인다.

 

                  ▲ 마애여래좌상 앞의 석탑

 

♧♧ 영월 무릉리 요선암 돌개구멍

*천연기념물 제543호(2013년04월11일 지정)

*소재지:강원도 영월군 수주면 무릉리 1423

*면적:35,927.5㎡

 

                  ▲ 요선암과 천연기념물 돌개구멍이 있는 주천강

 

다양한 형태와 규모의 하식기원 돌개구멍들이 화강암반 하상 위에 폭넓게 발달되어 있어, 하천의 윤회와 유수에 의한 하식적용 등을 밝힐 수 있는 학술 가치가 크며, 여러 개의 돌개구멍이 복합적으로 발달된 지형자체가 가지는 경관가치도 우수하다.

 

◈ 요선암(邀仙岩) : "신선을 맞이하는 바위'라는 뜻으로 조선시대 문예가 봉래 양사언이 평창군수 시절, 이곳의 풍광을 즐기며 암반위에 '요선암'이라고 새겼다는 이야기가 전해온다.

◈ 돌개구멍(Pot Hole) : '속이 깊고 둥근 항아리 구멍'이란 의미로 하천에 의해 운반되던 자갈 등이 오목한 하상의 기반암에 들어가 유수의 소용돌이와 함께 회전하면서 기반암을 마모시켜 발달하는 지형.

 

 

                  ▲ 돌개구멍

 

보통 하천의 상류지역에서 빠른 유속과 큰 에너지를 바탕으로 형성된 와지에 자갈이나 모래와 같은 퇴적물질이 들어가, 와동류(회오리가 이는듯한 물살)에 의해서 반복적인 회전운동을 통해 포트 홀 내벽을 침식, 점차 포트 홀이 성장하게 되며, 지속해서 내벽 및 하부침식이 일어나 커다란 항아리 모양으로 기반암을 파게 된다.

주로 사암이나 화강암과 같은 등질성의 단단한 암석에서 잘 발달하며, 형태로는 원형이나 타원형이 다수를 차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