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방/산행정보 및 건강상식

야간산행시 주의점

왕마구리 2008. 8. 29. 10:31
최근 무더위가 기승을 부리면서 밤에 산을 타는 야간산행이 인기를 모으고 있다.
밤에 산을 오르면 찜통더위는 없고 일사병이나 자외선의 위험은 적으면서 건강도 챙길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우리나라는 대도시 주변에도 산들이 많아 시간 내기 힘든 직장인들 역시 손쉽게 야간산행을 즐길 수 있어
직장인들을 중심으로 한 동호회도 활발하게 활동 중이다.

하지만 야간산행은 시야확보가 어려운 만큼 항상 사고에 대비해야 한다.
이에 야간산행 시 주의해야 할 점에 대해 알아본다.

밤에 하는 운동이 건강에 좋다
야간산행이란 말 그대로 밤에 등산을 하는 것을 말한다.
그렇다면 왜 야간에 등산을 하는 것일까?
여름철에는 한낮 기온이 섭씨 30도 이상 치솟기 때문에 운동을 하려면 적잖은 더위를 감수해야 한다.
그러다보니 일사병이나 자외선의 위험에 노출되기 쉽다.
하지만 야간에는 낮보다 기온이 5도 이상 내려가기 때문에 일사병이나 자외선을 피할 수 있다.

게다가 시간 제약 없이 느긋하게 할 수 있으며 퇴근 후 시간을 내서 운동을 하기 때문에 동호인끼리 모이기도 쉽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이 같은 밤 운동이 건강에도 훨씬 이롭다는 연구결과도 발표돼 밤에 운동을 즐겨하는 '올빼미족'들이 더욱 늘고 있다.

지금까지는 밤에 운동을 하면 식물에서 이산화탄소가 나와 몸에 해롭다고 상식처럼 알려졌었다.
하지만 지난해 미국 시카고대학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오후 7시 이후에 하는 야간 운동이 낮 운동 보다 더 효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오후 7시쯤 운동을 할 때 갑상선 자극 호르몬의 분비량이 가장 신속하게 증가하기 때문이다.
이 호르몬은 신진대사를 증가시키고 신체 각성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또 자외선 피해를 줄일 수 있으며
밤에 운동을 한 후 잠을 자면 뇌의 멜라토닌과 성장호르몬 분비를 촉진한다.
때문에 청소년이라면 성장에 도움이 되고 성인이라면 면역력 향상과 노화방지에 도움이 된다.
게다가 밤에 식물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 양은 낮에 배출되는 산소에 비해 양적으로도 매우 미미해 크게 신경 쓰지 않아도 될 정도다.

당뇨병 환자나 고혈압 환자들에게도 좋다.
야간운동은 혈당을 효과적으로 떨어뜨리며 하루 중 혈압이 가장 낮은 시점이 밤이기 때문이다.
아울러 식사 후 하는 운동은 대사 작용을 활발하게 하고 비만이나 동맥경화 등 각종 부작용도 예방할 수 있다.

부상 위험 더 큰 야간산행
이처럼 건강에 좋은 야간산행이지만 그래도 주의해야 할 점은 많다.
부상의 위험이 높기 때문이다.
야간산행 시 가장 신경을 써야 하는 부분은 바로 시야 확보이다.
환한 대낮과 달리 야간에는 손전등에 의지해 산행을 해야 한다.
또 밝기도 크게 떨어진다.
때문에 넘어지거나 부딪히지 않도록 주위를 잘 살펴야 한다.
특히 산에 오를 때보다 하산 시에 더 많은 부상을 당하기 때문에 신경을 써야 한다.

하산 시 부상을 더 많이 당하는 이유는 신체의 무게중심이 높고 허공에 떠 있는 시간이 많다보니 신체가 불균형 상태가 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주로 입는 부상부위는 어디일까?
발목을 삐는 경우가 가장 많고 찰과상이나 타박상을 입는 경우도 많다.
낙석이나 미끄러짐 등으로 심할 경우 연부조직(근육, 인대, 지방, 섬유조직, 활막조직, 신경혈관 등)의 파열이나 연골손상을 입을 수도 있다.

우리가 흔히 '삐었다'고 말하는 발목 염좌는 테니스, 농구 같은 운동을 하다
발을 헛디디는 경우에 종종 발생하며 산행 시에도 흔히 발생한다.
발목 염좌의 약 90%는 발바닥이 안쪽으로 뒤틀리면서 발생하는데 발이 정상적인 운동 범위보다 훨씬 많이 젖혀지면서 관절이 어긋나고 인대가 늘어나면서 손상된다.
찰과상도 흔히 입는 부상 중 하나다.
보통 '까졌다'고 표현하는 찰과상은 피부가 긁혀서 생기는 것으로 표피가 다양한 깊이로 소실되기 때문에 그 정도에 따라 더 쓰리거나 아플 수 있다.
타박상은 외부의 충격에 의해 피부에 상처를 주지 않고 피부 안쪽 층에서 내출혈이 생겨 멍이 드는 외상을 말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심하지 않으며 저절로 치유된다.
반면 연부조직의 파열이나 연골이 손상됐을 경우에는 반드시 전문의를 찾아 치료를 받아야 한다.

그러나 부상의 위험과는 별도로 무릎 관절염 환자들이라면 등산을 피해야 한다.
관절에 해롭기 때문이다.
무릎 관절은 체중을 받고 있는 관절로서 체중이 증가하면 증가한 무게의 약 10배까지 추가로 부하가 걸린다.
때문에 관절염 환자들은 운동을 할 때 무릎 관절에 얼마만큼 압력을 받는지를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관절염 환자가 산에 오를 경우에는 크게 문제가 없다.
등산으로 인한 관절 손상은 대부분 내려올 때 발생한다.
하산 시에는 무릎이 더 심하게 구부러지고 보폭도 빨라지기 때문에 체중의 평균 4.9배(경사도에 따라 3~6배) 무게를 무릎이 감당해야 한다.
배낭의 무게를 합치면 그 이상이 된다.
게다가 야간산행은 시야확보가 어려워 넘어지거나 부딪히기 더 쉽기 때문에 그만큼 무릎에 무리가 가기 쉽다.

무릎 관절이 안 좋은 사람들은 등산보단 가벼운 걷기, 실내 자전거 타기, 수영 등 관절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 근력을 강화할 수 있는 운동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전한 산행을 위해 스트레칭은 필수  


그렇다면 부상 없이 안전하게 야간산행을 즐기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첫째, 우선 산행을 하기 전 스트레칭을 충분히 해 관절을 풀어줘야 한다.
스트레칭은 준비운동과 정리 운동 두 가지 측면에서 볼 때 꼭 필요한 것으로 심장에서 가까운 곳부터 시작하는 곳이 좋다.
일반적인 스트레칭 순서는 손→가슴부위→등→목→요추부 근육→대퇴부근육→비복근근육→ 아킬레스 건→족관절 등의 순서다.
특히 산행 시에는 몸의 균형을 잃어 발목을 삐는 경우가 많으므로 한쪽 발로만 서서 균형을 잡는 발목 근육 강화 운동에도 많은 신경을 쓴다.

둘째, 미리 일기예보를 챙기고 손전등, 구급약, 일행과 헤어질 경우를 대비한 나침반 및 휴대폰 등 기본 장비를 잘 갖춘다.

셋째 안전을 위해 운동복은 눈에 잘 띄는 밝은 색 계열을 입고 야광물체가 부착된 것을 입는 게 좋다.

넷째, 야간산행은 낮 산행 보다 다소 시간이 많이 걸리기 때문에 미리 코스를 정하고 평소 익숙한 등산로를 선택한다.
또 혼자서 하는 것보단 동호회나 아는 사람들과 함께 산행을 한다.

다섯째, 한여름이라 해도 산에서는 일교차가 심하기 때문에 가장 추운 해뜨기 직전을 대비해
긴팔 옷을 준비하며 탈진 등에 대비해 물과 비스킷, 초콜릿 등의 비상식량도 넉넉하게 준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