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백산 자락길 제 1자락 Ⅲ달밭골길 ◀ 소백산 자락길 제1자락 Ⅲ소구간 달밭골길(숨겨둔 길) ▶ ▲ 달밭골계곡 【 걷기일자 】 2012년 6월 3일(일) 【 소백산 1자락길 소개 】 경상북도 영주시에 자리하고 있는 탐방로로 소수서원을 출발하여 순흥향교-죽계구곡-초암사-달밭골-비로사-삼가주차장에 이르는 코스로, 3개의 소구.. 문화생태탐방로/2009년 지정탐방로 2012.07.01
소백산 자락길 제 1자락 Ⅱ죽계구곡길 ◀ 소백산 자락길 제1자락 Ⅱ소구간 죽계구곡길(예술의 길) ▶ ▲ 죽계구곡의 계곡 【 걷기일자 】 2012년 6월 3일(일) 【 소백산 1자락길 소개 】 경상북도 영주시에 자리하고 있는 탐방로로 소수서원을 출발하여 순흥향교-죽계구곡-초암사-달밭골-비로사-삼가주차장에 이르는 코스로, 3개.. 문화생태탐방로/2009년 지정탐방로 2012.06.30
(2009년)이야기가 있는 문화생태 탐방로(Ⅵ) '고인돌 질마재 따라 100리길' ◀ 고창 고인돌 질마재 따라 100리길 ▶ ◁ 몇 천 년의 세월이 이어지는 소리가 들리는 100리길 ▷ 1. 고인돌 질마재 따라 100리길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약 2000개의 고인돌이 3km 남짓의 산등성에 고요하게 잠들어 3000여년을 이어져 오고 있는 길을 걷노라면 선사의 시간 속으로 빠져 들어가게 .. 문화생태탐방로/2009년 지정탐방로 2010.04.24
(2009년)이야기가 있는 문화생태 탐방로(Ⅴ) '정약용의 남도 유배길' 종합 ◀ 삼남대로를 따라 정약용의 남도 유배길 ▶ 1. 다산의 눈물과 백련사의 동백이 애달픈 그리움이 넘치는 남도 유배길 다산초당에서 백련사로 이어지는 다산 정약용의 남도 유배길은 그의 삶을 그대로 이야기하듯 나무에서 한 번, 땅에서 또 한 번 꽃을 피운다는 동백이 붉디붉은 비단길을 펼쳐놓고 있.. 문화생태탐방로/2009년 지정탐방로 2010.04.22
(2009년)이야기가 있는 문화생태 탐방로(Ⅳ) '여강길' 종합 ◀ 여강(남한강)을 따라가는 역사문화체험길 ▶ 1. 여강을 따라가는 역사문화체험길 경기도 여주와 강원도 원주를 따라가는 역사문화체험길로 여강(남한강)은 휘적휘적 낮은 언덕을 돌아 마을 길을 스치고, 섬강이 산을 넘고 청미천이 산기슭을 지나 여강에 몸을 풀자 강은 더욱 넓고 고요해지며 강원.. 문화생태탐방로/2009년 지정탐방로 2010.04.22
(2009년)이야기가 있는 문화생태 탐방로(Ⅲ) '박경리 토지길' 종합 ◀ 섬진강을 따라가는 박경리의 토지길 ▶ 1. 박경리의 토지길 토지길은 경남 하동군 악양면을 둘러보는 1코스와 화개장터에서 시작되는 십리벚꽃길을 걷는 2코스로 이루어져 있다. 1960년대 말 故 박경리 선생이 작품의 무대를 찾던 중 하동 악양면을 우연히 지나다 섬진강과 지리산이 어우러진 '무딤.. 문화생태탐방로/2009년 지정탐방로 2010.04.22
(2009년)이야기가 있는 문화생태 탐방로(Ⅱ) '동해트레일' 종합 ◀ 대륙으로 가는 동해 바닷가 길 '동해트레일'(영덕블루로드 & 관동대로 삼척수로부인길) ▶ 1. 대륙으로 가는 동해트레일 2008년 2월에 선보인 부산 해운대 달맞이고개에서 두만강 변에 있는 녹둔도까지 총 1400km의 기나긴 여정을 도보로 답사하는 대한민국의 새로운 관광프로젝트이다. 사단법인 '우리 .. 문화생태탐방로/2009년 지정탐방로 2010.04.21
(2009년)이야기가 있는 문화생태 탐방로(Ⅰ) '소백산 자락길' 종합 ◀ 소백산 자락길(경북 영주, 충북 단양) ▶ 1. 소백산 자락길 소백산 자락길은 경북 영주를 중심으로 충북 단양 경계에 걸쳐 있으며 소백산 주변을 잇는 길로 소수서원을 출발하여 순흥향교~초암사~달밭골~비로사~금선정~충기온천~죽령옛길~죽령~용부원리~대강면에 이르는 총 37.10km에 이르는 코스로 3.. 문화생태탐방로/2009년 지정탐방로 2010.04.19
2009년 문화체육관광부 지정 '문화생태 탐방로' ◀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지정한 트레투어길인 문화생태 탐방로 ▶ 1. 트레투어(tretour)가 등산 문화의 새로운 패턴으로 확산되고 있다. 트레투어는 트레킹(trekking)과 투어(tour)의 합성어이다. 트레킹은 남아프리카 원주민들이 달구지를 타고 정처없이 집단 이주한 데서 유래하였다. 전문 산악인들이 개발.. 문화생태탐방로/2009년 지정탐방로 2010.0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