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창녕 석빙고(昌寧 石氷庫)와 창녕 영산 석빙고(昌寧 靈山 石氷庫) ▶
조선시대의 얼음창고!
「 경남 창녕(慶南 昌寧) 소개 」
창녕군은 경상남도 중앙 북단에 위치하며 북은 대구광역시 달성군, 경상북도 고령군과 인접하고, 동쪽은 산악을 경계로 경상북도 청도군과 경상남도의 밀양시가 접해 있으며, 서남은 낙동강을 사이로 합천군, 의령군, 함안군, 창원시에 접하고 있습니다.
동단은 부곡면 동경 128도 39분, 서단은 이방면 동경 128도 21분으로 동서의 길이는 약 27.36km이며, 남단은 부곡면 북위 35도 22분이며 북단은 성산면 북위 35도 40분으로 남북 길이는 약 34.39km 이다.
기후는 비교적 온화하나 평균기온이 여름에는 23.9℃이고, 겨울에는 영하1.2℃정도로서 한서의 차이가 심하며, 하기에는 한발과 수해가 자주있는 지역이다.
창녕군의 군 소재지인 창녕읍은 창녕군의 동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으로 밀양시 무안면과 북으로 고암면, 서부에는 대지, 유어면과 남부는 계성면과 접하고 있다. 동부산악은 화왕산을 위시한 산악지대이고 서부는 평야 지대로 고온다습한 기후로 수도작을 위주로 양파, 마늘, 고추를 많이 생산하고 있다
당일 등산코스로 최적의 주변환경이 조성되어 있는 화왕산은 봄, 가을 주말과 화왕산 갈대제가 개최되는 10월에 전국에서 많은 등산객이 찾고 있으며 정상의 분지 지형의 억새 군락지와 가야시대때 축조한 화왕산성이 있으며 최근에는 MBC에서 방영되는 창사특집드라마 허준의 촬영세트장이 있어 추후로 좋은 관광자원이 될것으로 보인다
창녕읍의 특산물은 마늘과 양파가 유명하며, 옥천리 일대에서 채취되는 자연송이는 그 맛과 향이 특이하여 전량 일본으로 수출되고 있다
비사벌의 얼이 숨쉬는 문화의 고장인 창녕읍의 화왕산성은 임진왜란때 의병을 일으켜 왜군을 물리친 곽재우 장군의 승전지로 유명하며 교동 고분군에 위치한 창녕박물관에는 많은 문화유물들이 전시되어있다. 현재 창녕읍에 문화재 현황은 국보2점 보물8점 사적4점 중요민속자료2점 경상남도유형문화재 5점등 총 27점의 문화재가 있다.
대표적인 남방식 지석묘인 장마면 유리의 지석묘, 부곡면 온정리의 고인돌과 고분, 도천면 일리와 영산면 신제리의 지석묘, 계성면 사리의 사은암 등으로 보아 선사시대부터 우리군에 인류가 취락한 것으로 보고 있다.
기록으로는 1세기 전후, 「삼국지」 변진 24국의 소개에 나타나있는 불사국이 창녕군에 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이다.
가야시대에는 불사국(不斯國) 또는 비화가야(非火伽倻)로 존립하여 오다가 일찍이 신라에 병합되어 비자화군(比自火郡) 또는 비사벌(比斯伐), 비자벌(比子伐)이라 하였다. 영남의 중추인 낙동강을 자양으로 번성하여온 창녕군은 초기국가이던 옛 가야를 거쳐 신라에 이르러서부터 나뉘어져 있던 여러 현이 합하여져 오늘에 이르고 있는 것이다.
신라진흥왕 16년(555) 에 하주(下州)의 치소(治所)를 두고 군대 주둔지인 정(停)을 두었다가 同王 26년(565)에 폐지하고, 경덕왕 16년(757)에 화왕군(火王郡)으로 이름을 고쳤다. 이때 영산현은 본래 서화현(西火縣)이라 불렀으나 상약(尙藥)으로 고쳐서 밀양군의 현(縣)으로 되었다.
계성은 본래 신라 때 읍을 설치하였는데 옛이름은 알 수 없고, 경덕왕 16년에 계성으로 고쳐 화왕군(火王郡)의 영현(領縣)이 되었다.
고려때에 이르러 태조 23년(940) 3월 화왕군(火王郡)을 지금의 이름인 창녕(昌寧)으로 고쳤다. 그후 현종이 밀성군에 소속시켰으며, 明宗2年(1172年) 감무(監務)를 두었다. 역시 영산도 지금의 이름으로 고쳐서 밀성군에 소속시켰는데. 원종 15년(1274)에 감무를 두었다.
또 계성은 현종 9년(1018)에 밀성군에 속했다가 공민왕 15년(1366)에 영산현에 속하였으나 곧 공양왕 2년(1390)에 다시 밀성에 속하게 되는 등 변화가 많았다.
조선시대에 이르러 태조 3년(1394) 창녕과 영산에 현감을 두게 되었다. 그러나 인조 9년(1631)에 창녕현은 지도(至道)의 역변(逆變)으로 인하여 현이 혁파되고 강등되어 영산현에 합하여 소속되는 수난을 당하였다. 그로부터 6년후 어영군(御營軍)의 상언(上言)에 의하여 인조 15년(1637)에 복현(復縣)되어 다시 창녕과 영산 양현으로 나누어 졌다.
고종 32년(1895) 5월 8도제를 폐지하고 23부제의 실시로 본 군은 밀양과 함께 대구부(大邱府)에 속하게 되었고, 이듬해(1896) 8월 4일 13도제(道制)가 실시되자 창녕·영산군은 대구부에서 경상남도에 속하게 되었다. 고종 34년(1897) 행정의 말단조직인 방(坊)이 면(面)으로 개칭되었으며, 순종 융희원년(隆熙元年)에 통폐합을 거쳐 1910년 9월 면제(面制)가 시행되었다.
1914년 4월 1일 부군폐치분합(府郡廢置分合)에 따라 함안군에 편입된 길곡면의 사촌(射村)·금곡리 일부(지금의 함안군 칠북면 봉촌리 일대)를 제외한 영산군은 창녕군에 합병, 오늘에 이르고 있다. 2개군의 합병으로 창녕, 고암, 성산, 대합, 이방, 대지, 유어, 창락, 영산, 계성, 남곡, 길곡, 부곡, 도천, 장마 등 15개 면으로 개편되었다.
1955년 7월 1일 창락면이 창녕면에 편입되어 14개 면으로 되었다.
1960년 1월 1일 창녕면이 읍으로 승격되었고, 이어 3년후인 1963년 1월 1일에는 남지면이 읍으로 승격하게 되어 본군은 2읍 12면이 되었다.
1971년 2월 13일 창녕군조례 제175호로 남지읍 고곡출장소를 설치함으로써 2읍 12면 1출장소가 되었다.
1998년 9월 10일 행정조직 개편으로 고곡출장소가 폐지되었고, 현재 139개 법정리에 285개의 행정리가 있다.
『 탐방한 창녕군의 문화재들 』
●창녕읍내 문화재들
국보 제33호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昌寧 新羅 眞興王 拓境碑)
국보 제34호 창녕 술정리 동 삼층석탑(昌寧 述亭里 東 三層石塔)
보물 제75호 창녕 송현동 마애여래좌상(昌寧 松峴洞 磨崖如來坐像)
보물 제227호 창녕 인양사 조성비(昌寧 仁陽寺 造成碑)
보물 제310호 창녕 석빙고(昌寧 石氷庫)
보물 제520호 창녕 술정리 서 삼층석탑(昌寧 述亭里 西 三層石塔)
중요민속문화재 제10호 창녕 술정리 하씨초가(昌寧 述亭里 河氏 草家)
사적 제514호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昌寧 校洞과 松峴洞 古墳群)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0호 퇴천 삼층석탑(兎川 三層石塔)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31호 창녕객사(昌寧客舍)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12호 창녕향교(昌寧鄕校)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218호 창녕척화비(昌寧斥和碑)
●관룡사(觀龍寺)
보물 제146호 창녕 관룡사 약사전(昌寧 觀龍寺 藥師殿)
보물 제212호 창녕 관룡사 대웅전(昌寧 觀龍寺 大雄殿)
보물 제519호 창녕 관룡사 석조여래좌상(昌寧 觀龍寺 石造如來坐像)
보물 제295호 창녕 관룡사 용선대 석조여래좌상(昌寧 觀龍寺 龍船臺 石造如來坐像)
보물 제1730호 창녕 관룡사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대좌(昌寧 觀龍寺 木造釋迦如來三佛坐像 및 臺座)
보물 제1816호 창녕 관룡사 대웅전 관음보살 벽화(昌寧 觀龍寺 大雄殿 觀音菩薩壁畵)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1호 관룡사 약사전 삼층석탑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83호 관룡사사적기(觀龍寺事蹟記)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576호 창녕 관룡사 명부전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昌寧 觀龍寺 冥府殿 木造地藏菩薩三尊像 및 十王像 一括)
경상남도 민속문화재 제6호 관룡사석장승(觀龍寺石長丞)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9호 관룡사부도(觀龍寺浮屠)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140호 관룡사 원음각(觀龍寺 圓音閣)
●창녕 영산면 문화재
보물 제564호 창녕 영산 만년교(昌寧 靈山 萬年橋)
보물 제1739호 창녕 영산 석빙고(昌寧 靈山 石氷庫)
●창녕 우포늪 천연보호구역 천연기념물 제524호
【 일 정 표 】2015년 12월 30일(수)-2016년 01월 01일(금) 2박3일
◈ 첫째날(12/30) : 우포늪 천연보호구역-창녕 석빙고-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와 만옥정공원 내 문화재들(창녕객사,퇴천 삼층석탑 및 창녕 척화비)
◈ 둘째날(12/31) : 관룡산&구룡산 산행-관룡사
◈ 세째날(01/01) : 창녕읍내 문화재들(술정리 서 삼층석탑-술정리 동 삼층석탑-하씨초가-인양사 조성비-창녕향교-교동과 송현동 고분군
-송현동 마애여래좌상)-영산 만년교-영산 석빙고
경남 창녕군은 2007년04월29일(일) 부천마구리산악회 회원 35명을 인솔하여 관룡산~화왕산 연계 산행을 위해 방문한지 약 8년8개월여 만에 창녕지역의 문화재 탐방을 위해 2박3일 일정으로 다시 방문을 하게 되었다.
2015년을 마무리하는 12월31일 송년산행을 2007년04월29일 산행하였던 관룡산을 택하여, 당시 산행코스였던 '관룡사~청룡암~구룡삼거리~관룡산~화왕산' 코스에서 산행들머리는 같지만 산행코스를 '관룡사~노단이마을 능선갈림길~병풍바위 암릉길~구룡산~구룡삼거리~관룡산~용선대~관룡사'로 달리하여 실시하고 관룡사 문화재를 탐방하는 일정과 우포늪 쳔연보호구역 '우포생태길' 탐방 일정이 추가되어 다른 지역과는 달리 2박3일로 실시가 되었다.
창녕에서의 탐방 명소 소개는 관룡산&구룡산 산행은 일반산행 '영남&호남권'에 산행기를,
내가 찾은 관광명소 '명찰을 찾아서'에 관룡사의 문화재들을,
그리고 내가 찾은 관광명소 '영남권'에 창녕 석빙고와 창녕 영산 석빙고,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와 만옥정공원 내 문화재들(창녕객사, 퇴천 삼층석탑, 척화비), 창녕읍내 두 기의 통일신라 석탑(창녕 술정리 동 삼층석탑&서 삼층석탑), 창녕읍내의 문화재들(인왕사 조성비, 창녕향교, 하씨초가, 송현동 마애여래좌상), 5~6세기 대형 고분군인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 국내 최대의 자연늪이며 람사르협약 등록습지인 우포 늪 천연보호구역, 그리고 무지개 모양의 돌다리 창녕 영산 만년교 등 총 9편으로 나누어 소개를 하기로 한다.
그리고 창녕 석빙고와 창녕 영산 석빙고를 소개할 때 현재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된 나머지 석빙고(4개소:2008년6월과 2013년5월 방문한 경주 석빙고, 2013년7월 방문한 안동 석빙고, 2013년11월 방문한 청도 석빙고, 그리고 달성 현풍 석빙고)들도 간략하게 함께 소개를 하기로 한다.
- 신라 8대 사찰 중의 하나! 창녕 관룡사(昌寧 觀龍寺)
- 조선시대 얼음창고! 창녕 석빙고(昌寧 石氷庫)와 창녕 영산 석빙고(昌寧 靈山 石氷庫)
- 신라 진흥왕이 순시하여 세운 기념비!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昌寧 新羅 眞興王 拓境碑)와 만옥정공원내 문화재들(창녕객사,퇴천 삼층석탑,창녕 척화비)
- 창녕읍내 두 기의 통일신라 석탑! 창녕 술정리 동 삼층석탑(昌寧 述亭里 東 三層石塔)과 술정리 서 삼층석탑(述亭里 西 三層石塔)
- 창녕읍내의 문화재들! 창녕 송현동 마애여래좌상(昌寧 松峴洞 磨崖如來坐像),창녕 인양사 조성비(昌寧 仁陽寺 造成碑),술정리 하씨초가(述亭里 河氏 草家),창녕향교(昌寧鄕校)
- 5~6세기 대형 고분군!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昌寧 校洞과 松峴洞 古墳群)
- 국내 최대의 자연늪! 창녕 우포늪 자연보호구역
- 무지개 모양의 돌다리! 창녕 영산 만년교(昌寧 靈山 萬年橋)
『 창녕 석빙고(昌寧 石氷庫) 』
*보물 제310호(1963년01월21일 지정)
*소재지: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송현리 288번지
창녕군 명덕초등학교 맞은편 도로변에 언덕처럼 보이는 것이 이 석빙고이다.
석빙고는 얼음을 저장해 두기 위해 돌을 쌓아 만든 창고로, 주로 강이나 개울 주변에 만들어진다. 서쪽으로 흐르는 개울과 직각이 되도록 남북으로 길게 위치하고 있으며, 입구를 남쪽으로 내어 얼음을 쉽게 옮길 수 있도록 하였다.
▲ 창녕 석빙고 입구
입구 안의 계단을 따라 내려가면 밑바닥은 경사졌고 북쪽 구석에는 물이 빠지도록 배수구멍을 두었으며, 바닥은 네모나고 평평하다. 내부는 잘 다듬어진 돌을 쌓아 양옆에서 틀어올린 4개의 무지개모양 띠를 중간중간에 두었다. 각 띠사이는 긴 돌을 가로로 걸쳐놓아 천장을 마무리하였다.
▲ 창녕 석빙고 내부
또한 천장의 곳곳에는 환기구멍을 두어 바깥공기를 드나들게 하였다.
이 석빙고는 입구에 서 있는 비석의 기록을 통해 조선 영조 18년(1742) 당시 이곳의 현감이었던 신후서(申侯曙)에 의해 세워졌다는 것을 알수 있다. 각 부 양식 또한 조선 후기의 모습이 잘 담겨져 있어 이러한 사실을 뒷받침해주고 있다.
『 창녕 영산 석빙고(昌寧 靈山 石氷庫) 』
*보물 제1739호(2011년12월23일 지정)
*수량/면적:3,769㎡
*소재지:경상남도 창녕군 영산면 교리 산10-2번지
화강석으로 쌓은 조선 중기의 얼음창고이다.
정확한 축조시기는 알 수 없으나 『여지도서』와 조선 후기의 읍지에 따르면 현감 윤이일이 세운 것으로 생각된다. 들어가는 입구가 높고 뒤로 갈수록 낮은, 전체적으로 둥근 모양으로 되어 있다. 내부는 거칠게 다듬은 큰 돌로 쌓은 네모진 형태이다.
▲ 창녕 영산 석빙고 입구(사진 上)
창녕 영산 석빙고 내부 천장의 환기창(사진 下左)과 외부 환기구(사진 下右)
▲ 창녕 영산 석빙고 내부 천장(사진 上)
창녕 영산 석빙고 내부 전체 전경(사진 下)
창고가 있는 곳에서 바라다보면 빙고 뒤쪽 끝으로 개울이 있는데 지금은 개울에 물이 말랐지만, 이는 상류에 제방을 쌓았기 때문이며 옛날에는 수량이 풍부했다고 한다.
다른 석빙고에 비해 약간 작은 규모이나, 쌓은 수법은 같다.
▲ 창녕 영산 석빙고 내부의 각 부분들
『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된 전국의 석빙고들(6곳) 』
▣ 보물 제66호 경주 석빙고(慶州 石氷庫) 경북 경주시
▣ 보물 제305호 안동 석빙고(安東 石氷庫) 경북 안동시
▣ 보물 제310호 창녕 석빙고(昌寧 石氷庫) 경남 창녕군
▣ 보물 제323호 청도 석빙고(淸道 石氷庫) 경북 청도군
▣ 보물 제673호 달성 현풍 석빙고(達城 玄風 石氷庫)) 대구 달성군
▣ 보물 제1739호 창녕 영산 석빙고(昌寧 靈山 石氷庫) 경남 창녕군
이번 창녕 석빙고와 창녕 영산 석빙고 탐방을 계기로 2008년6월과 2013년5월 방문한 경주 석빙고, 2013년7월 방문한 안동 석빙고, 그리고 2013년11월 방문한 청도 석빙고와 달성 현풍 석빙고 등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된 전국의 석빙고들을 다시 한 번 되돌아 보기로 한다.
총 6곳 중 이번에 창녕지역의 두 곳을 탐방하여 총 5곳을 탐방을 하였으므로, 나머지 한 곳인 달성 현풍 석빙고도 가까운 시기에 탐방을 실시해 볼 계획이다.
(참고)일부 사진의 출처는 문화재청
♧ 경주 석빙고(慶州 石氷庫)
*보물 제66호(1963년01월21일 지정)
*소재지:경상북도 경주시 인왕동 449-1번지
경주 반월성 안의 북쪽 성루 위에 남북으로 길게 자리하고 있다.
남쪽에 마련된 출입구를 들어가면 계단을 통하여 밑으로 내려가게 되어 있다. 안으로 들어갈수록 바닥은 경사를 지어 물이 흘러 배수가 될 수 있게 만들었다. 지붕은 반원형이며 3곳에 환기통을 마련하여 바깥 공기와 통하게 하였다.
석비와 입구 이맛돌에 의하면, 조선 영조 14년(1738) 당시 조명겸이 나무로 된 빙고를 돌로 축조하였다는 것과, 4년 뒤에 서쪽에서 지금의 위치로 옮겼다는 내용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어 이 때의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규모나 기법면에서 뛰어난 걸작으로 평가되고 있다.
♧ 안동 석빙고(安東 石氷庫)
*보물 제305호(1963년01월21일 지정)
*소재지:경상북도 안동시 성곡돌 산225-1번지
이 석빙고는 낙동강에서 많이 잡히는 은어를 국왕에게 올리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조선 영조 13년(1737)에 지어졌다. 형태는 동·서로 흐르는 낙동강 기슭의 넓은 땅에 강줄기를 향하여 남북으로 길게 누워 있으며, 입구는 특이하게 북쪽에 옆으로 내었다.
안으로 계단을 따라 들어가면 밑바닥은 경사져 있으며, 중앙에는 물이 강으로 흘러가도록 만든 배수로가 있다. 천장은 길고 크게 다듬은 돌들을 무지개모양으로 틀어올린 4개의 홍예(虹霓)를 세워 무게를 지탱하도록 하고, 각 홍예 사이는 긴 돌들을 가로로 채워 마무리하였다. 천장의 곳곳에는 환기구멍을 두었는데, 이는 안의 기온을 조절하기 위하여 설치한 것으로 바깥까지 연결하였다.
전체적으로 규모는 큰 편은 아니나 보존상태는 양호하다. 특히 석빙고는 그 위치가 매우 중요한데, 안동댐 건설로 수몰될 위기에 처하여 지금은 본래의 위치보다 높은 곳으로 옮겨왔다. 이전에는 바로 옆에 강이 흘러서 얼음을 운반하기가 아주 쉬웠을 것으로 보인다.
♧ 청도 석빙고(淸道 石氷庫)
*보물 제66호(1963년01월21일 지정)
*소재지: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동교길 7(동천리)
양쪽 벽을 이어주던 반원아치 형태의 홍예(虹霓)가 4군데 남아있을 뿐 천장은 완전히 무너져 불완전한 상태이다. 하지만 지금까지 남아있는 우리나라 석빙고 가운데 경주 석빙고(보물 제66호) 다음으로 큰 규모이고 쌓은 연대도 오래된 것이다.
동·서로 뻗은 긴 구조로, 서쪽에 문을 두었으며 계단을 따라 안으로 들어가면 경사진 바닥이 보인다. 가운데에는 물이 빠지는 길을 두고 동쪽에 구멍을 만들어, 석빙고 밖의 작은 개울로 물이 빠지도록 하였다. 환기 구멍을 뚫어 놓았던 것으로 예상되지만 현재는 어디인지 찾을 수가 없다.
석빙고의 입구 왼쪽에는 석비(石碑)가 서 있는데, 앞면에는 공사에 동원된 인원수·쓰인 자료·비용 등을 기록해 놓았고, 뒷면에는 비를 세운 날짜와 함께 관계된 사람들의 이름을 적어놓았다. 그 중에 ‘계사(癸巳)년’이라는 기록이 있어 조선 숙종 39년(1713)에 만들어진 것으로 짐작된다.
♧ 달성 현풍 석빙고 (達城 玄風 石氷庫)
*보물 제673호(1980년09월16일 지정)
*소재지: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면 현풍동로 86(상리)
남북으로 길게 축조되어 있으며, 출입구가 개울을 등진 능선쪽에 마련된 남향구조이다. 돌의 재질은 모두 화강암으로 외부에서 보면 고분처럼 보인다.
입구는 길쭉한 돌을 다듬어 사각의 문틀을 만든 후 외부공기를 막기 위해 돌로 뒷벽을 채웠다. 외부는 돌을 쌓고 점토로 다져서 흙을 쌓아 올렸다. 잘 다듬어진 돌로 벽과 천장을 쌓았는데 천장에는 무지개 모양의 홍예(虹霓)를 4개 틀어올리고 그 사이사이에 길고 큰 돌을 얹어 아치형을 이루게 하였다. 천장에는 통풍을 위한 환기구가 두 군데 설치되었고 빗물에 대비한 뚜껑이 있다. 바닥은 평평한 돌을 깔고 중앙에 배수구를 두었다.
당시에는 얼음창고가 마을마다 설치된 것이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규모가 작은 현풍고을에 이러한 석빙고가 만들어진 것은 주목할 만한 일이다. 1982년 석빙고 주위의 보수작업 때 축조년대를 알려주는 건성비(建城碑)가 발견됨으로써 조선 영조 6년(1730)에 만들어진 것임을 알게 되었다.
'내가 찾은 관광명소 > 영남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남 창령)무지개 모양의 돌다리! 창녕 영산 만년교(昌寧 靈山 萬年橋) (0) | 2016.01.16 |
---|---|
(경남 창녕)창녕읍내 두 기의 통일신라 석탑! 창녕 술정리 동 삼층석탑(국보)과 서 삼층석탑(보물) (0) | 2016.01.14 |
자연과 문화가 살아숨쉬는 밀양 제Ⅳ편:밀양관아(密陽官衙) (0) | 2015.01.06 |
자연과 문화가 살아숨쉬는 밀양 제Ⅶ편:밀양향교(密陽鄕校) (0) | 2014.11.10 |
자연과 문화가 살아숨쉬는 밀양 제Ⅵ편:조선 전기 대표적 별서정원! 월연대 일원 (0) | 2014.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