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찾은 관광명소/영남권

삼국유사의 고장! 경북 군위(軍威) 제Ⅰ편:제2석굴암 군위삼존석굴

왕마구리 2014. 5. 20. 01:18

◀ 삼국유사의 고장! 경북 군위(軍威)를 찾아서

 

이번 군위 방문은 당일 탐방으로 이루어졌다.

우리 고유의 사상인 화랑도와 함께 민족의 주체성을 일깨우고 정신적 지주가 되었던 일연스님의 삼국유사가 탄생된 곳인 국위군 고로면 화북리 화산 아래 인각사가 자리하고 있으며, 우리 민족의 근간을 밝힌 삼국유사와 함께 일연선사의 역사적 발자취와 함께 경주 석굴암 보다 100년을 앞서는 군위삼존석굴 등 민족의 전통과 문화의 향기가 짙게 묻어나는 고장이기 때문에 이 두 곳의 유적지 탐방. 그리고 일제시대 때 지어진 화본역과 1000년 세월에도 10리의 야트막한 돌담과 고택들이 고스란히 보존되어 정겨운 모습으로 다가서는 대율리 한밤마을(일명 돌담마을)을 탐방하게 되었다.

이 네 곳의 탐방지를 방문하며 이동 경로나 주변에 산재해 있는 명소 나 문화유산인 학소대, 지보사, 김수환추기경 생가, 덕림사, 대율리 석불입상 등도 함께 탐방을 하였다. 그러나 화본역 인근 폐교된 산성중학교를 활용하여 60~70년대의 거리와 생활광경 등을 재현하여 꾸며 놓은 '엄마,아빠 어렸을 적에'는 어린이날을 맞아 부모와 함께 찾은 많은 어린이 탐방객들로 복잡하기도 할 뿐만 아니라 입장료(\2,000)를 받고 있어 탐방을 포기하였다.

이번 군위 방문은 하루 동안의 탐방이었지만 나름대로 내실있는 탐방이었으며, 경북 군위편은 '삼국유사의 고장! 경북 군위를 찾아서'란 명제로 관광명소별로 나누어 총 5편으로 작성을 한다.

 

 

【 군위(軍威) 소개 】

경상북도 중앙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서간 70.4km, 남북간 56.2km로 남북이 짧고 동서가 길다. 지세는 곳곳에 산악의 기복이 심하여 평탄치 못하다.

남쪽에는 팔공산이 자리하여 대구광역시와 접경하면서 산맥이 동서로 긴 성벽과 같이 뻗어 있고 그 산줄기가 동으로 뻗어 청송군 및 영천시와 군계를 지어 분수령을 형성하고 있다.

군위군 중앙을 관통하는 위천은 군위군의 극동인 고로면 학암리에서 발원하여 북단인 소보면 사리리를 지나 의성군 비암면에서 쌍계천과 합류하여 낙동강 본류로 흐르고, 위천 지류인 남천은 팔공산 기슭에서 발원하여 부계,효령 양면을 거쳐 효령면 병수리에서 위천에 합류되며, 하천유역의 양안에 농경지가 형성되어 군위,소보,효령,의흥 등의 평야지대는 관개가 용이하고 토질은 사양토로 비옥하여 농경에 적합하다.

기후는 비교적 온화하나 평균기온이 여름에는 23.9ºC이고, 겨울에는 영하 1.2ºC정도로서 한서의 차가 심하며, 산악에는 수목이 적어서 기후의 난화조절이 잘 되지 않고 하기에는 한밭과 수해가 잦다.

 

                                         ▲ 석굴 아래를 흐르는 계곡

 

삼한시대에는 진한의 여담국, 소등붕국 등 부족국가를 형성하였고, 삼국시대 신라초에는 노동면혁(여두멱 이라고도 함)으로 불리었다.

통일신라시대 경덕왕6년(757) 전국에 9주를 설치할 때 군위현, 효령현, 부림현으로 하여 승선군(현 선산군)의 영현이 되었다. 고려시대 현종9년(1018)에 군위현, 효령현, 부림현(부계현으로 개명)이 상주목에 속했고, 의흥군은 안동부에 속하였다. 인종21년(1143)에 다시 군위현, 효령현, 부계현이 상주목에서 일선군으로 환속되었으며, 공양왕2년(1390) 효령현이 군위현으로 이속되었으며, 부계현은 의흥군으로 각각 통합하여 감무를 두었다.

조선 태종13년(1413)에는 의흥군을 의흥현으로 격하하고, 고종32년(1896)에는 다시 군위현과 의흥현이 군으로 승격되고, 고종33년(1897) 8월 4일 훈령 제35호로 13도제 실시에 따라 경상북도 군위군과 의흥군이 되었다.

일제강점기인 1914년 3월 1일 부,군,면의 통폐합에 따라 의흥군을 군위군에 8개면을 관할할 때 의성군 소아면(현 인곡,양지,낙전,가암,석산,학암) 일부가 군위군 고로면에 편입되었으며, 1915년 1월 1일 의성군 소문면(현 용대)이 군위군 군위면에 편입되었다.

광복이후 1973년 7월 1일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의성군 금성면 광현1,2,3동이 군위면에, 선산군 산동면 도산1,2동이 소보면에 편입되어 8개면 177개동이 되었다.

1979년 5월 1일 군위면이 읍으로 승격되어 1읍 7개면이 되었다.

이후 여러 차례 행정개편을 거쳐 2012년 2월 28일 현재 1읍, 7면, 180리가 되었다.

 

 

                  ▲ 석굴 앞을 흐르는 계곡과 계곡 주변의 송림숲

  

- 삼국유사의 고장! 경북 군위 Ⅰ편 : 경주 석굴암보다 앞서 세워진 석굴사원! 제2 석굴암 군위삼존석굴

- 삼국유사의 고장! 경북 군위 Ⅱ편 : 민족역사의 1번지! 인각사(麟角寺)와 삼국유사(三國遺史)

- 삼국유사의 고장! 경북 군위 Ⅲ편 : 옛 추억을 불러일으키는 작고 아담한 간이역! 화본역(花本驛)

- 삼국유사의 고장! 경북 군위 Ⅳ편 : 천년을 이어온 전통과 정겨운 돌담을 간직한 곳! 대율리 한밤(돌담)마을

- 삼국유사의 고장! 경북 군위 Ⅴ편 : 기타 탐방 명소들! 지보사와 김수환추기경 생가

 

【 일 정 표 】2014년 5월 5일(월) ◈ 지보사-김수환추기경 생가-인각사와 학소대-화본역-덕림사 화본리오층석탑-대율리 한밤마을(돌담마을)

 

제Ⅰ편 : 제2석굴암! 군위삼존석굴 

경주 석굴암보다 앞서 세워진 석굴사원!

 

                  ▲ 제2석굴암인 군위 아미타여래삼존 석굴

 

♧♧ 군위 아미타여래삼존 석굴(軍威 阿彌陀如來三尊 石窟)

*국보 제109호(1962년12월20일 지정)

*소재지:경상북도 군위군 부계면 남산리 1477

팔공산 절벽의 자연동굴에 만들어진 통일신라 초기의 석굴사원으로 개울쪽 화강암벽에서 약 10m 높이에 7세기 전후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1927년 마을 사람이 우연히 소나무에 밧줄을 매고 절벽을 내려가다 절벽틈으로 보고 발견했다고 하는데, 그후 40여년간 세상에 묻혀 있다가 1962년에야 세상에 알려져 국보로 지정되었다.

 

                  ▲ 제2석굴암인 군위 아미타여래삼존 석굴로 오르는 계단 입구

                  (현재 석굴로 오르는 계단길은 문화재 보호관계로 출입이 금지된 상태라 모전석탑이 있는 비로전 앞마당에서 바라보는 것으로 만족해야 한다)

 

석굴의 높이는 4.25m이며, 입구는 원형에 가깝고, 굴 안의 평면은 대체로 정사각형이다. 천장은 활의 등 모양이다.

이 석굴에는 700년경에 만들어진 삼존석불이 모셔져 있는데, 중앙의 본존불인 여래상은 2.18m, 양쪽 협시불 가운데 왼쪽 보살상은 1.8m, 오른쪽 보살상은 1.92m이다.

 

 

가운데 본존불은 사각형의 대좌 위에 양 발을 무릎 위에 올리고 발바닥이 위로 향한 자세로 앉아 있는 모습이다. 민머리 위에는 상투 모양의 큼직한 큼직한 머리(육계)가 있으며, 얼굴은 몸에 비하여 큰 편으로 삼국시대 불상에서 보이던 친근한 미소가 사라지고 위엄있는 모습을 하고 있다. 옷은 얇게 걸치고 있어서 당당한 신체의 굴곡을 여실히 드러내고 있으며, 옷자락은 넓은 무릎을 거쳐 불상이 앉아 있는 대좌 아래까지 길게 늘어져 있다. 손모양은 오른손을 무릎 위에 올리고 손가락이 땅을 향한 항마촉지인인데, 우리나라 불상에서 나타나는 최초의 예로써 의의가 크다.

 

 

                  ▲ 석굴안의 본존불 좌협시불인 세지보살입상(사진 左)과 우협시불인 관음보살입상(사진 右)

 

같은 양식을 보이는 좌우의 보살상은 각각의 머리에 작은 불상과 정병이 새겨진 관을 쓰고 있다. 가슴 앞에는 목걸이를 걸치고 팔에는 팔찌를 끼고 있으며, 옷은 길게 U자형의 주름을 그리면서 내려오고 있다. 이들 보살상은 날씬한 몸매에 어눌리는 신체 비례와 목,허리,다리 3부분을 비틀고 있는 모습에서 새롭게 수용된 중국 당나라 양식을 보여주고 있다.

이 작품은 삼국시대 조각이 통일신라시대로 옮겨가는 과정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높은 문화재적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자연 암벽을 뚫고 그 속에 불상을 배치한 본격적인 석굴사원이라는 점에서 불교 미술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 비로전 앞마당의 모전석탑과 석굴

 

♧♧ 군위 삼존석굴 모전석탑(軍威 三尊石窟 模塼石塔)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241호(1991년05월14일 지정)

1층 기단 위에 1층의 탑신을 올린 특이한 형태로, 전탑(흙벽돌로 쌓아 만든 탑)을 모방하여 돌을 벽돌 모양으로 다듬어 앃은 모전석탑이다.

 

 

기단은 네 면마다 모서리에 2기, 그리고 그 사이에 3기 등 5기씩의 기둥 모양을 조각하였다. 탑신의 몸돌은 20여 단의 일정치 않은 돌을 포개어 쌓아 올렸다. 지붕돌은 전탑에서와 같이 아래,윗면이 층단을 이루고 있는데, 밑면에는 3단의 받침을 두었고 윗면에도 다시 여러 단의 층단을 쌓아 점차 줄어들게 하였다. 지붕돌 한 가운데에는 머리장식받침인 노반과 연꽃봉우리 모양의 장식인 보주가 놓여 머리장식을 하고 있다.

탑신을 다시 쌓으면서 본래의 모습을 잃었으나 비교적 탑의 형태를 잘 유지하고 있어 소중한 가치를 지닌다. 통일신라시대에 세운 것으로 추정된다.

 

                  ▲ 비로전 옆 석조비로자나불좌상이 있는 연못

 

♧♧ 군위 삼존석굴 석조비로자나불좌상(軍威 三尊石窟 石造毘盧遮那佛坐像)

*경상북도 유형문화재 제258호(1991년05월14일 지정)

 

 

 

현재 대좌와 광배가 없어진 상태다.

머리에는 작은 소라 모양의 머리칼을 붙여 놓았으며, 그 위에 있는 상투 모양의 머리묶음은 펑퍼짐하게 표현하였다. 볼에 살이 올라 풍만한 얼굴은 길게 늘어진 두 귀와 함께 양감을 느끼게 한다.

옷은 양 어깨를 감싸 입고 있는데, 앞가슴을 넓게 드러내고 있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손은 왼손 검지를 오른손으로 감싸 쥐고 있는 모습으로 일반적인 비로자나불이 취하는 손모양이다. 각 부분의 모습에서 양감을 느낄 수 있으며 형식으로 보아 9세기 말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