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유산 조선왕릉! 남양주 광릉(南陽州 光陵) ▶
조선왕릉은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왕릉 가운데 가장 완전한 형태를 갖추고 있는 고유의 유적이다. 왕릉 개개의 완전성은 물론이고 한 시대의 왕조를 이끌었던 역대 왕과 왕비에 대한 왕릉이 모두 보존되어 있다는 점에서 더욱 큰 가치를 지닌다.
1392년 고려 왕조가 막을 내리고 탄생한 조선 왕조는 이후 1910년까지 무려 519년이라는 장구한 세월을 이어갔다.
이처럼 하나의 왕조가 500년 이상 지속된 것은 매우 보기 드문 유례이다. 이러한 유구한 역사를 가진 조선 왕조에는 27대 왕과 왕비 및 추존왕과 왕비가 있는데, 이 왕족의 무덤을 조선왕릉이라 한다.
왕족의 무덤은 왕실의 위계에 따라 능, 원, 묘로 분류된다.
능(陵)은 추존왕, 추존왕비를 포함한 왕과 왕비의 무덤이고, 원(園)은 왕세자와 왕세자비, 그리고 왕의 사친(私親:종실로서 임금의 자리에 오른 임금의 생가 어버이)의 무덤을 말한다. 묘(墓)는 나머지 왕족, 즉 왕의 정궁의 아들, 딸인 대군과 공주, 왕의 서자, 서녀인 군과 옹주, 왕의 첩인 후궁, 귀인 등의 무덤을 일컷는다.
인류의 문화유산으로서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인정받아 '세계문화 및 자연유산의 보호에 관한 협약'에 따라 2009년 6월 30일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519년의 역사를 지닌 조선은 유교를 통치이념으로 삼아 조상에 대한 존경과 숭모를 매우 중요한 가치로 여겨 역대 왕과 왕비의 능을 엄격히 관리하였다. 그리하여 42기의 능 어느 하나도 훼손되거나 인멸되지 않고 모두 제자리에 완전하게 보전되었다.
조선왕릉은 우리의 전통문화를 담은 독특한 건축양식과 아름다운 자연이 어우러진 공간으로 600여 년 전의 제례가 오늘날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는 살아있는 문화유산이다.
▷ 조선왕릉의 분포
조선 왕족의 무덤은 모두 119기에 이르며, 이 가운데 능이 42기이고, 원이 13기이며, 묘가 64기이다.
조선 왕족의 무덤은 무덤 주인의 신분에 따라 그 명칭을 달리하는데 능(陵)은 왕과 왕비의 무덤, 원(園)은 왕세자와 왕세자빈 또는 왕의 사친의 무덤, 그 외 왕족의 무덤은 일반인의 무덤처럼 묘(墓)라고 한다.
42기의 능 가운데 북한 개성에 있는 제릉(태조 원비 신의왕후의 능), 후릉(정종과 정안왕후의 능)을 제외한 40기의 능이 남한에 있다.
남한에 위치한 40기의 왕릉 중 강원도 영월에 위치한 장릉(단종의 능)을 제외한 39기의 능이 서울과 경기도 일원에 자리를 하고 있다. 500년이 넘는 한 왕조의 무덤이 이처럼 온전하게 보전되어 있는 것은 세계에 그 유래를 찾기 힘들며 문화사적 가치가 매우 높다.
▷ 조선왕릉의 제향
조선왕릉의 가치는 형태적 보존에만 있지 않고, 조선왕릉을 더욱 더 빛나게 하는 것은 600년 넘게 이어져 내려온 조선왕릉의 제례의식이다.
조선은 건국 이래 산릉제례를 엄격하게 지켜왔으며, 1945년 해방 후에는 '전주이씨대동종약원'이 기일에 올리는 제사인 능기신제(陵忌辰祭)의 전통을 이어받아 오늘에 이르고 있다.
매년 왕과 왕비의 제향일에 산릉제례가 엄격하게 행해진다.
▷ 조선왕릉의 구성
조선왕릉은 죽은 자가 머무는 성(聖)의 공간과 산 자가 있는 속(俗)의 공간이 만나는 곳으로 그 공간적 성격에 따라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 능침공간 : 왕과 왕비의 봉분(능침, 능상)이 있는 성역 공간
** 제향공간 : 죽은 자와 산 자가 함께 하는 영역으로 제사를 지내는 공간(정자각, 침전)
** 진입공간 : 왕릉의 관리와 제례 준비를 위한 공간(재실)
▲ 남양주 광릉의 재실 전체 전경
▲ 남양주 광릉 재실의 옛 전경
▲ 남양주 광릉의 재실(사진 上)
제기고(사진 中)
행랑채(사진 下)
▷ 조선왕릉의 변천사
조선왕릉 석물의 배치와 구조는 기본적으로 큰 변화없이 오랜 기간 반복되었지만 당시의 정치적, 경제적 상황이나 당대 왕의 의지에 따라 약간씩의 변화가 있어 왔다.
제1기는 태조의 건원릉(1408)에서부터 문종 현릉(1452)으로 조선 왕릉의 기본 형식을 갖춘 시기이다.
제2기는 세조의 광릉(1468)에서부터 숙종 익릉(1681)까지로 석물의 전반적인 배치나 표현상에서 조선 왕릉 특유의 조각 양식이 확립된 시기이다.
제3기는 인조의 장릉(1731)에서부터 철종의 예릉(1864)까지이며 병풍석이나 장명등의 형태에서 약간의 변화가 있었고 조각의 비례가 바뀐다.
제4기는 황제릉이 조성된 시기로, 고종이 대한제국을 선포하고 황제라 칭하면서 고종의 홍릉과 순종의 유릉이 황제릉의 형식을 취하였다. 이에 더하여 유릉의 석물에서는 일제의 식민지 지배 이데올로기가 그대로 반영되어 있다.
▲ 남양주 광릉 입구 매표소와 광릉역사문화관
▲ 남양주 광릉가는 길 입구
【 방문일자 】2015년 4월 3일(금)
【 관람정보 】
*관람시간 : (매주 월요일 휴관)
2월~5월,9월~10월:9시~18시(매표:9시~17시)/6월~10월:9시~18시30분(매표:9시~17시30분)/11월~1월:9시~17시30분(매표:9시~16시30분)
*관람요금 : 어른(19~64세) \1,000
*관람소요시간 : 약 1시간~1시간30분
*문의(조선왕릉 광릉관리소) : T.031)527-7105
▲ 남양주 광릉 안내도
*교통안내 : 양재
- 의정부역(1호선)-구시외버스터미널(의정부동)에서 #21번(광릉내행) 버스 이용
- 청량리에서 #7-6, #707번 버스 이용, 광릉내 버스종점 하차하여 #21번(의정부행) 버스로 환승
- 동재문에서 #106번 버스 이용, 의정부 구시외버스터미널 하차하여 #21번(광릉내행) 버스로 환승
▲ 남양주 광릉의 진입로
「 남양주 광릉(南陽州 光陵) 」 조선 제7대 세조와 정희왕후의 능
조선 최초로 조영된 동원이강릉!!!
난간석 기둥에 십이지신상을 새긴 유일한 왕릉!!!
조선 최초 수렴청정을 행한 정희왕후!!!
*사적 제197호(1970년5월26일 지정)/유네스코 세계유산(2009년6월30일 지정)
*위치: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부평리 산99-2번지
*면적:1,040,399㎡
*조성시기:예종1년(1468년)
조선 제7대 세조와 비 정희왕후의 무덤이다.
▲ 홍살문에서 정자각까지 이르는 참도가 생략된 광릉
광릉은 같은 산줄기에 좌우 언덕을 달리하여 왕과 왕비를 각각 따로 봉안하고 두 능의 중간 지점에 하나의 정자각을 세우는 형식인 동원이강릉(同原異岡陵)으로서, 이러한 형태의 능으로는 최초로 조영되었다. 지금까지는 왕과 왕비의 무덤을 나란히 두고자 할 때는 고려 현릉,정릉 식의 쌍릉이나 세종과 소헌왕후 심씨의 무덤인 여주 영릉의 형식으로 왕과 왕비를 함께 묻는 방법을취하였으나, 광릉은 두 언덕을 한 정자각으로 묶는 새로운 배치로 후세의 무덤제도에 영향을 끼쳤다.
▲ 정자각에서 바라본 세조의 능(사진 左)과 정희왕후의 능(사진 右)
좌측 능선의 봉분이 세조의 능이며, 오른쪽의 봉분이 정희왕후의 능이다.
광릉은 다른 왕릉에 비해 간소하게 조영되었다.
세조는 "내가 죽으면 속히 썩어야 하니 석실과 석곽을 사용하지 말 것이며, 병풍석을 세우지 말라."는 유언을 하였다고 한다. 이러한 세조의 유언에 따라 이전까지 석실로 되어 있던 능을 석회다짐의 회격으로 바꾸어 부역 인원을 반으로 줄이고 비용을 절감하였다.
▲ 난간석에 새겨진 12지신상(사진 左)
봉분 내부 회격 구조(사진 右) : 1515년 조성된 장경왕후 희릉(서울 서초구 소재) 초장지 발굴 당시의 회격 구조
무덤 주위에는 난간석을 세우고 그 밖에 문인석, 무인석, 상석, 망주석, 호석, 양석을 세웠다. 또한 봉분 주위에 둘렀던 병풍석을 없애면서 병풍석에 새겼던 십이지신상을 난간석의 기둥(동자석주)에 옮겨 새기는 등 상설 제도를 개혁하였다. 이러한 예는 광릉 밖에 없으며, 글자로 난간석에 표시하거나 나중에는 24방위까지 새겨 넣게 된다.
능하구역에는 홍살문에서 정자각까지 이르는 참도가 생략되어 있다.
▲ 광릉의 정자각
▲ 광릉의 정자각의 옛 모습(사진 左)과 현 정자각의 신계(사진 右)
세종의 여주 영릉이 조선 전기 왕릉 제도를 총정리한 것이라 한다면, 광릉은 조선 전기 왕릉 제도의 일대변화를 이룬 조선 왕릉 제도상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 광릉 들어가는 길 입구에 식재된 세조가 정이품 벼슬을 내린 보은 속리 정이품송 후계목(사진 上)
정이품송 후계목 안내문(사진 下左)과 왕릉 초입의 하마비(사진 下右)
*조선 왕릉에 남아 있는 유일한 광릉의 하마비
~선왕선비를 모시는 제사를 주관하기 위해 친행을 한 왕조차도 이곳 하마비에서 부터는 말이나 가마에서 내려야 했다.
세조의 능은 서울로부터 다소 떨어지고 골이 깊은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부평리에 있다. 광릉 자리는 원래 다른 이의 묘자리였으나, 풍수상 길지라 하여 묘자리의 주인이 세조에게 바쳤다고 전해지며, 일부 풍수가들은 세조의 광릉 자리가 좋아 조선 500여 년을 세조의 후손들이 통치하였다고 전하기도 한다.
예종원년(1468) 11월 28일 주엽산 아래 세조를 예장하고 그로부터 15년이 지난 성종14년(1483) 3월 30일 정희왕후가 승하하자 같은 해 6월 12일 광릉 동쪽 언덕에 예장하였다.
▲ 광릉의 비각 현재(사진 左)와 과거(사진 右) 모습
▲ 광릉의 비각내 보관중인 비
▲ 인릉의 정자각의 신계와 신계의 문양
▲ 광릉의 수라간터
◈ 제7대 세조(世祖)
생몰년도 : 1417~1468년
재위기간 : 1455~1468년
세조는 세종과 소헌왕후 사이에서 태종17년(1417) 9월 29일 태어났다. 타고난 자질이 영특하고 명민하여 학문이 높았을 뿐만 아니라 무예에도 뛰어났다고 전한다.
대군 시정, 세종의 명을받아 불교 서적 번역을 관장하고, 향악의 악보 정리에도 힘을 쏟았으며, 문종2년1452) 관습도감 도제조에 임명되어 국가의 실무를 맡아보기도 했다. 문종이 승하하고 나이어린 조카 단종이 왕위에 오르자 그는 측근인 권람, 한명회 등과 결탁하여 단종1년(1453) 10월 계유정란을 일으켜 조선 7대 임금으로 즉위하였다.
왕권의 강화를 위하여 의정부 서사제를 폐지하고 전제왕권제에 가까운 육조직계제를 단행하였으며, 집현전을 폐지하고 경연을 없앴다. 왕명 출답 기능이 있는 승정원을 강화시키고, 호폐법을 부활하였으며, 진관체계를 실시해 전국 방위체제를 수립하고 중앙군을 5위로 개편하는 등 군제 정비에도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았다. 또한 1460년, 1467년 두 차례에 걸쳐 북방의 여진족을 소탕하는 등 국방도 튼튼히 했다.
세조는 이와 같은 많은 치적을 세워 조선 초기 왕권 확립에 크게 공헌하였다. 그러나 사육신으로 불리는 집현전 학사 출신 관료들이 단종 복위를 계획한 사건이 발각되자 이들을 모두 살해하였을 뿐 아니라 선왕이자 조카인 단종을 유배지에서 죽이는 등 수많은 정적의 피를 보았다.
세조는 1명의 후궁만을 두었으며 술자리에는 평생의 반려자이자 조강지처였던 정희왕후와 함께 했던 경우가 많았다. 세조는 술자리 뿐만 아니라 국가와 왕실의 크고 작은 행사에도 정희왕후를 동반했던 가정적인 군주이기도 했다.
세조10년(1464) 1월 20일 말년의 세조는 궁을 나서서 와위에 오르기 전에 살았던 옛집을 찿았는데, 그곳에서 생사를 같이 했던 조강지처 정희왕후와 함께 술자리를 하며 금의환향한 자신을 뿌듯해 했다.
그 술자리는 아마 정치적 동지이자 반려자였던 정희왕후를 위해 세조가 마련한 최고의 이벤트였을 것이다.
▲ 세조릉 옛 모습
((일화))
계유정란은 단종원년(1453) 단종 보위 세력의 정치 주도에 불만을 품은 수양대군이 일으킨 쿠테타였다. 1453년 10월 10일 수양대군은 하녕회, 권람, 홍달손을 집으로 불러 자신이 직접 반대파 세력인 김종서를 제거할 것임을 알렸다. 그리고는 미리 권람을 시켜 김종서의 집을 엿보게 한 후 향정, 유소, 종 임운과 함께 바로 김종서의 집으로 향하였고, 수양대군의 며을 받은 임운은 철퇴를 내리쳐 김종서를 살해하였다.
다음날 새벽, 수양대군이 단종이 있는 시좌소로 가서 환관을 통해 현재의 상황에 대하여 단종에게 형식적인 보고를 하였다. 그리고 궐 안이 좁다는 이유를 내세워 재상들이 시종을 두고 혼자 들어오게 하여 그들을 순서대로 죽이는 방법으로 미리 작성한 살생부에 오른 인물들에 대해 살육을 시작하였다. 수양대군은 이러한 절차를 거쳐 영의정, 이조판서, 병조판서, 내외병마도통사 등을 겸임하며 실제 정권과 군권을 행사라게 되었다. 그로부터 2년여가 지난 1455년 6월 2일 단종으로부터 옥새를 건네받고 6월 11일 7대 임금으로 즉위하였다.
◈ 정희왕후(貞熹王后) 윤씨 생몰년도 : 1418~1483년 정희왕후는 판중추원사 윤번의 딸로 태종18년(1418) 충청도 홍주에서 태어났다. 세종10년(1428) 수양대군과 혼인하여 낙랑부대부인에 봉해졌으며, 세조가 즉위하자 왕비에 책봉되었다. 남편인 세조가 먼저 승하한 뒤 그녀의 둘째 아들인 예종이 즉위하였는데, 선천적으로 병약하였던지라 재위 1년 2개월만에 예종 역시 승하하였다. 당시 선왕이 누구로 하여금 뒤를 잇게 할 것인가를 정하지 않고 승하하게 되면, 그 권한은 대비에게 주어졌다. 정희왕후는 이 권한을 통해, 젊은 나이에 요절한 자신의 첫째 아들 의경세자의 둘째 아들인 자을산군을 왕(성종)으로 지목하여 대통을 잇게 했다. 그리고는 예종대의 섭정에 이어 7년이라는 기간 동안 수렴청정을 행하게 되었다. 이는 조선 최초의 수렴청정이었다. 성종14년(1483) 3월 30일 66세의 나이로 온양행궁에서 승하하여 같은 해 6월 12일 광릉 동쪽 언덕에 예장되었다.
▲ 정희왕후릉 옛 모습
((일화))
조선 선조 때의 이조판서 이기가 쓴 글들을 모은 문집 「송와잡설」에는 정희왕후 윤씨가 수양대군의 부인이 된 일화가 수록되어 있다.
왕실의 혼사를 알아보던 중, 궁궐의 감찰 상궁과 보모 상궁이 윤씨 집안에 수양대군에게 적합한 배후자가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찾아왔는데, 사실 이때 후보자는 정희왕후의 언니였다고 하다.
그런데 궁중에서 사람이 나왔다는 말에 정희왕후가 어머니 이씨 뒤에 숨어서 어른들 이야기를 듣다가 감찰상궁의 눈에 띄고 만 것이다. 언니보다 정희왕후의 자태가 더 비범하다고 궁궐에 알려지면서 그녀는 언니 대신 궁중에서 가례를 올리고 낙랑부대부인으로 봉해졌다. 그 후 그녀는 계유정란 당시 사전 정보가 누설되어 수양대군이 거사를 망설이자 손수 갑옷을 입혀 그에게 용병을 결행하게 할 만큼 결단력이 강한 여장부였다.
1468년 그의 아들 예종이 19세에 왕위에 오르자 조선 최초의 수렴청정을 하고, 이후 손자 성종이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오르자 섭정을 하기도 하였다.
『 (현장고발) 광릉 정자각의 부실보수 현장 』
= 정자각 주춧돌 위에 세워진 하부 기둥
제대로 가공처리되지 않은 목재를 사용하여 송진이 흘러내리고, 나무가 갈라지는 등 부실 보수가 눈에 띄게 드러나 있다.
= 정자각 공포의 갈라진 목재들
제대로 가공처리되지 않은 목재를 사용하여 전체적으로 목재의 갈라짐 현상 발생
=정자각 기단위에 새로 깐 박석 사이로 올라오는 황토 흙
비가 오면 깔아 둔 돌 사이로 황토 흙의 붉은 흙물이 올라오고 있어 일정기간이 지나면 박석이 균형을 잃어 흔들거리거나 비뜰어져 재시공을 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정자각 지붕의 사라진 잡상
보관중인 옛 사진에는 정자각의 지붕에 잡상이 있지만, 보수공사가 끝난 정자각에는 잡상이 복원되지 않았다.
▲ 잡상이 복원되지 않은 보수공사가 완료된 광릉의 정자각
▲ 옛 사진에 뚜렷하게 남아 있는 정자각의 잡상들
『 한국전쟁의 전흔이 남아있는 정자각 』
정자각 기단의 석축 화강암에는 아직까지 총알이 박혀 있거나, 탄흔이 곳곳에 나 있다.
▲ 정자각의 기단 화강암에 박혀 있는 총알
▲ 정자각의 기단의 탄흔들
'내가 찾은 관광명소 > 세계유산 조선왕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유산 조선왕릉! 서울 정릉(貞陵) (0) | 2015.11.07 |
---|---|
세계유산 조선왕릉! 서울 의릉(懿陵) (0) | 2015.04.18 |
세계유산 조선왕릉! 서울 헌.인릉 ②인릉(仁陵) (0) | 2015.03.29 |
세계유산 조선왕릉! 서울 헌.인릉 ①헌릉(獻陵) (0) | 2015.03.28 |
세계유산 조선왕릉! 구리 동구릉(東九陵) ⑨수릉(綏陵) (0) | 2015.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