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맥&지맥 산줄기/♧ 도솔지맥·8구간

도솔지맥 제5구간(웅진리갈림길~운수현) 산행기(14년09월27일 산행)

왕마구리 2014. 10. 3. 16:43

◀ 도솔지맥 5구간(사명산 문바위 구간) ▶ 

 << 9정맥동우회의 여덟번째 지맥산행>>

 

                   ▲ 웅진리 포장도로가 끝나는 선정사 앞에서...

 

【 산행코스 】 (접근)웅진주차장→'A코스'등산로입구→선정사→임도갈림길/Y자갈림길→용수암/'F코스'등산로 산길입구→┳자갈림길→1180봉/핼기장(도솔지맥 마루금)→문바위봉(1004m)→978봉직전 웅진리갈림길-(제5구간 마루금산행)- 978봉 직전 웅진리갈림길→해주최공지묘→문바위→능선분기봉(817봉)/3개시군(춘천시,양구군,화천군)경계봉→안부→696.1봉/헬기장→운수현/포장도로-(탈출:추곡리 방향)-(포장도로)→운수골입구/46번국도→'추곡리'버스정류장/추곡삼거리

【 도상거리 】약 3.60km(탈출거리 3.50km + 접근거리 6.10km 미포함)/총 산행거리:약 13.20km

【 산행일자 】2014년 09월 27일(토)

【 날     씨 】맑 음

【 산행시간 】총 6시간 30분 소요(휴식 및 중식 : 1시간 58분 포함)/실제 산행시간 : 4시간 32분소요(접근&탈출:3시간4분 포함)

【 참 가 자 】9정맥동우회(8명) : 김동수, 김영길, 류주열, 신무순, 이용하, 이창신, 천영면, 최상태

【 교 통 편 】대중교통 이용

<< 갈 때 >> 부천역/1호선(06:08)→용산역(06:34~07:00)-(경춘선 ITX 청춘열차/\6,900)→춘천역(08:18~08:42)-(양구행 시외버스/\4,300)→양구 '웅진리'버스정류장(09:21)

<< 올 때 >> 추곡리 버스정류장(16:00~16:14)-(시외버스/\3,600)→춘천역/뒤풀이(16:40~18:10)-(TAXI)→춘천시외버스터미널(18:25~18:40)-(부천행 시외버스/\12,900)→부천'소풍'시외버스터미널(21:00)

 

▣ 교통편

* 춘천시외버스터미널 ↔ 양구시외버스터미널 : 춘천역 앞 승차하여  웅진리 하차

    (춘천발)07:10, 07:40, 08:30, 09:20, 09:50, 10:20, 11:10, 12:20, 13:30, 14:20, 15:00, 15:50, 16:40, 17:25, 18:10, 18:40, 19:20, 19:50, 20:40, 21:20

    (양구발)07:00, 08:15, 08:35, 09:00, 09:20, 10:10, 10:50, 11:20, 12:30, 13:10, 14:10, 15:00, 16:00, 16:50, 17:50, 18:30, 19:00, 19:40, 20:20, 21:00 

* 양구 개인택시 : Tel.(033)481-7676, 481-2116

* 양구 콜택시 : Tel.(033)481-8254

 

 

【 산 행 기 】

도솔지맥 제5구간은 지난 제4구간의 잔여 구간인 '웅진리갈림길~운수현' 구간에서 실시되었다.

이번 구간은 도상거리 약 3.6km의 짧은 구간이지만, 제5구간 시작 지점인 웅진리갈림길까지 약 6.10km과 산행날머리인 운수현에서 추곡리 버스정류장까지 약 3.5km 등 마루금 산행과 상관없이 약 8.6km를 추가 산행하게 된 구간이다.

특히 접근산행은 제4구간에서 산행하였던 1180봉 헬기장~웅진리갈림길 구간 약 1.2km가 포함되어 있고, 웅진리 입구에서 1180봉 헬기장까지 약 4.9km는 고도차 약 930m를 극복하는 약 2시간30분의 산행시간이 소요되는 긴 오르막 코스로 이루어져 있어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다.

마루금 산행거리가 전체 산행거리의 30%도 채 되지않는 산행이었다.

 

               ▲ 웅진주차장의 사명산 등산로 입구

 

「 접근산행 」

09:30=>웅진주차장/사명산 등산로 입구

     해발 약 250m인 웅진리 입구에서 웅진리 마을 포장도로를 따라 지난 번 제4구간 산행 때 탈출을 시작하였던 978봉 직전 웅진리갈림길까지 접근 산행을 시작한다.

 

               ▲ 사명산 'A코스' 등산로 입구

 

도로를 따라 형성된 웅진리 마을을 지나 30분 가까이 완만하게 오르면 이정표(↓웅진리 2km/→사명산 4km)와 '무량사' 표지석이 세워져 있는 ┣자갈림길(09:59)에 이르게 되는데 우측 산길이 사명산 'A코스' 등산로 입구이다.

도로를 따라 계속 3분 정도를 오르면 도로가 끝나고 임도가 시작되는 신정사에 이르게 된다.

 

 

                ▲ 포장도로가 끝나고 임도가 시작되는 선정사 입구(사진 上)

                       임도(사진 下)

 

10:02~10:12=>선정사/임도입구

     절 입구에서 산행준비를 마치고 임도를 따라 올라간다.

 

 

                ▲ 임도 Y자 갈림길(사진 上)

                       임도 갈림길의 이정표(사진 下)

 

완만하게 8분여를 오르면 좌측 계곡을 가로질러 돌아 나가는 임도와 갈라지는 Y자갈림길(10:20). 이정표(↑사명산 2.5km/↓웅진리 2.7km)와 사명산 등산로 안내도가 있으며, 안내도에 따르면 사명산 주능선인 1180봉 헬기장까지는 거리는 2.2km로 계속 되는 오르막길이 연속될 것이다.

임도 따라 잠시 오르면 용수암에 이르게 되는데, 본격적인 산길이 시작되는 입구이다.

 

 

 

                ▲ 용수암의 산길 입구(사진 上)

                       산길 입구의 사명산 등산로 안내도(사진 中)

                       산길 입구의 이정표(사진 下)

 

10:21~10:23=>용수암/산길입구

     사명산 'F코스' 등산로인 산길 입구에는 이정표(현위치:사명산F-1, ↓웅진리 2.6km)와 사명산 등산로 안내도가 있다.

안내도상 1180봉 헬기장까지는 2.3km이며, 헬기장까지 현위치:F-1을 시작으로 갈림길인 F-2와 F-6 등이 표시된 이정표를 지나 F-5'가 설치된 헬기장으로 오르게 된다.

산길로 들면 돌밭의 완만한 오르막길이 이어지고 좌측으로는 계곡이 자리를 한다.

 

 

                ▲ 돌밭의 완만한 오르막길(사진 上)

                       임도(사진 下)

 

                ▲ 완만한 오르막길

 

이정표(↑사명산 1.9km/↓웅진리 3.3km)가 설치된 임도(10:41~10:42)를 건너 완만한 오르막길을 약 8분 정도 오르면 이정표(현위치:사명산F-2, ←사명산 2.5km/↓웅진리 3.7km/→사명산 1.5km)가 설치된 ┳자갈림길에 이르게 된다.

 

 

 

                ▲ 사명산 ┳자 갈림길(사진 上)

                       ┳자 갈림길의 이정표(사진 中)

                       ┳자 갈림길에서...(사진 下)

 

10:50~10:59=>┳자갈림길

     사명산 일반산행이라면 'F코스' 등산로 정코스인 우측 길을 따라 정상에 오르고 헬기장을 거쳐 이곳으로 되돌아 내려오는 원점회귀 산행을 실시하였겠지만, 오늘은 마루금 접근이 주 목적이며, 사명산 정상은 지난 번 산행 때 거쳐 간 곳이므로 일부러 먼 거리를 돌아 갈 필요가 없어 좌측 길을 따라 헬기장으로 바로 오른다.

참고로 우측 등산로를 택해 1180봉 헬기장까지 정상을 거쳐 간다면 약 2.8km의 거리이므로, 좌측 등산로를 택해 헬기장을 오르는 1.2km 거리보다 1.6km나 길다.

 

 

                ▲ 헬기장으로 향하는 오르막길에 이정표가 설치된 공터(사진 上)

                       공터의 이정표(사진 下)

 

가파른 오르막길을 오르면 이정표(현위치:사명산F-6, ↑사명산 1.8km/↓웅진리 4.4km)가 설치된 작은 공터(11:28~11:37)를 지나, 중간에 고정밧줄난간과 나무계단이 설치된 가파른 오르막길이 이어진다.

 

                ▲ 헬기장 직전 '등산로 폐쇄' 푯말

 

'등산로 폐쇄' 경고판(11:55)을 지나 돌아 오르면 잡초가 무성한 넓은 헬기장인 1180봉에 이르게 된다.

 

 

                ▲ 도솔지맥 마루금인 1180봉 헬기장(사진 上)

                       헬기장의 이정표(사진 下)

 

11:59~12:01=>1180봉/헬기장 「도솔지맥 마루금」

     이정표(현위치:사명산F-5, ←웅진리 4.7km, 추곡약수터/↓웅진리<선정사> 4.9km/→사명산 1.3km)와 사명산 등산로 안내도가 있는 헬기장으로 지난 제4구간 산행 때 지났던 곳이다.

이곳부터는 지난 번 탈출을 시작하였던 웅진리갈림길까지 편안한 능선길 1.2km 거리를 도솔지맥 마루금을 복습하며, 다시 걷게 된다.

 

                ▲ 도솔지맥 마루금인 편안한 능선길

 

좌측 추곡약수터 방향 길로 들어 사명산 'B코스' 등산로를 따라

위치표시목 '현위치:사명산B-10'(12:11),

위치표시목 '현위치:사명산B-9'(12:17),

 

 

                ▲ 도솔지맥의 문바위봉(사진 上)

                       문바위봉의 위치표시목과 푯말(사진 下)

 

'도솔지맥 1004m' 폿말이 붙어있는 위치표시목 '현위치:사명산B-8'이 있는 공터봉인 문바위봉(12:30)을 차례로 지나 978봉직전 안부삼거리인 웅진리갈림길에 내려서며 접근 산행을 마무리하게 된다.

 

                ▲ 도솔지맥 제5구간의 산행이 시작되는 웅진리갈림길의 이정표

 

「 도솔지맥 제5구간 마루금산행 」 

12:33~12:34=>웅진리갈림길

      이정표(←웅진리 3.5km/↓사명산 2.5km/→추곡약수터)가 있는 웅진리갈림길은 지난 제4구간 산행 때 탈출로로 이용하였던 좌측 웅진주차장 방향으로 이어지는 지능선 등산로가 분기하는 곳이다.

 

                ▲ 도솔지맥 문바위로 향하는 능선길의 묘1기

 

                ▲ 도솔지맥 문바위로 향하는 능선길

 

정면 978봉을 우회하는 추곡약수터 방향 산사면길을 따라 진행하여 978봉을 우회하고 능선길로 들어 완만하게 내려가면 해주최공지묘 1기(12:41)를 지나 사명산의 명소인 문바위에 도착을 하게 된다.

 

                ▲ 도솔지맥 문바위

 

12:47~13:50=>문바위/중식

      좌측 산 중턱에 자리한 흥덕사에서 세운 것으로 보이는 7층석탑이 좌측 바위 절벽위에 자리를 하고 있고, 두 개의 큰 바위로 이루어진 문바위의 깎아지른 절벽을 연결하는 낡아 위험한 나무 깔판을 엮은 출렁다리가 있는 곳이다.

 

                ▲ 문바위 좌측 암벽위의 7층석탑

                ▲ 문바위 우측 암벽위에서 바라본 소양호 일대

                ▲ 문바위에서 바라본 가야할 도솔지맥 산줄기

                ▲ 문바위 우측 암벽

                ▲ 문바위에서...

 

문바위 위에 서면 사방으로 멋진 풍경이 펼쳐지는데, 소양호와 가야 할 도솔지맥 산줄기가 시원하게 조망이 된다.

산 아래로 소양호가 펼쳐지는 좌측 바위 상부 7층석탑 옆 공터에 자리를 잡고 점심식사를 하며 1시간이 넘게 휴식을 취하고, 출렁다리 아래 문바위 절벽 사이를 빠져 나오면 이정표(←수인리<흥덕사,사명산쉼터> 3.7km/↑추곡약수터/↓사명산)가 있는 ┫자 갈림길이 있다.

 

                ▲ 문바위 아래 수인리갈림길의 이정표

 

좌측 하산로는 절터샘, 흥덕사를 거쳐 46번국도가 지나는 수인리로 내려가는 길로 약 1시간~1시간20분 정도가 소요되는 등산로이다.

가파른 내리막길을 따라 안부(13:56)에 내려서고, 경사도 있는 오르막길을 오르다 우측 산사면길을 이용하여 봉우리를 우회하여 이정표(↑추곡약수터 2.7km/↓사명산 3.9km)가 있는 능선(14:02).

밋밋한 봉우리를 넘어 좌측 사면길로 또 다른 봉우리를 우회(14:06)하고 편안하게 2분여를 내려간다. 완만하게 오르면 좌측 지능선으로 뚜렷한 산길이 나타나는 ┫자 갈림길을 지나 능선분기봉인 817봉에 오르게 된다.

 

                ▲ 능선분기봉인 817봉의 표말

 

14:12~14:13=>817봉/3개시,군경계봉

      정상에 '도솔지맥 817봉/황소' 푯말이 있는 춘천시,양구군,화천군의 경계가 되는 봉우리이다.

좌측으로 양구군과 춘천시의 경계를 이루는 지능선이 분기하고, 이 능선길을 따르면 추곡약수터로 하산을 할 수 있다. 이제부터는 양구군을 벗어나 춘천시와 화천군의 경계를 이루는 마루금을 따라 진행을 하게 된다.

817봉을 뒤로 하고 긴 내리막길을 따르다 한 차례 휴식(14:25~14:30)을 취하고 안부(14:31)에 내려선다. 안부를 뒤로 하고 짧은 오르막 후 봉우리(14:32)를 넘으면 또 다시 긴 내리막길. 5분 후 안부를 지나면 완만하지만 길고 긴 오르막길이 약 13분간 이어진다.

작은 공터봉(14:50)에서 좌측으로 꺾이는 마루금을 따라 완만하게 잠시 오르면 삼각점(양구457/2007재설)이 설치된 696.1봉이다.

 

 

                ▲ 696.1봉 헬기장(사진 左)과 헬기장의 삼각점(사진 右)

 

14:52~15:01=>696.1봉

      헬기장인 696.1봉을 뒤로 하고 가파르게 안부(15:12)에 내려서고, 완만한 오르막과 편안한 능선길을 약 3분여간 진행하면 내리막길이 오늘 마루금 산행의 종착지인 운수현까지 이어진다.

 

                ▲ 운수현

 

                ▲ 운수현의 이정표와 장승

 

15:20~15:25=>운수현

      춘천시 북산면 추곡리와 화천군 간동면 방천리를 연결하는 포장도로가 지나는 운수현에는 이정표(↑죽엽산 3km/↓사명산 6.1km)와 장승, 이동통신 중계소가 자리를 하고 있다.

이곳에서 약 3.6km의 짧은 마루금 산행을 마치고 좌측 추곡리 방향으로 도로를 따라 탈출을 시작한다.

 

                ▲ 운수현에서 추곡리로 내려가는 길

 

약 3.5km에 달하는 포장도로를 진행하여 46번 국도가 지나는 '추곡리' 버스정류장에 도착과 동시에 오늘의 도솔지맥 5번째 산행은 끝이 난다.

 

                ▲ 추곡삼거리

 

16:00~16:14=>'추곡리'버스정류장/추곡삼거리

     양구발 춘천행 시외버스를 이용하여 춘천역으로 향하며 접근과 탈출거리가 마루금 산행거리의 두 배가 넘는 도솔지맥 제5구간의 산행이 마무리되었다.

 

(( 9정맥동우회 46번째 산행 회비 정산내역-2014년08월23일- ))

 항   목 수  입   지  출   비  고

 전기이월금액(14년08월)

 \693,080 

   

당일회비

 - 

   

당일경비

시외버스(춘천→웅진리:\4,300X8명)

(추곡리→춘천역:\3,600x8명)

 

 

\34,400

\28,800

 주,식대(찬조:김종수):\105,000
차기이월금액

 

\629,880

합   계

\693,080

\693,0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