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유산 조선왕릉 김포 장릉(金浦 章陵) ▶
▲ 장릉 전체 전경
조선왕릉은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왕릉 가운데 가장 완전한 형태를 갖추고 있는 고유의 유적이다. 왕릉 개개의 완전성은 물론이고 한 시대의 왕조를 이끌었던 역대 왕과 왕비에 대한 왕릉이 모두 보존되어 있다는 점에서 더욱 큰 가치를 지닌다.
1392년 고려 왕조가 막을 내리고 탄생한 조선 왕조는 이후 1910년까지 무려 519년이라는 장구한 세월을 이어갔다.
이처럼 하나의 왕조가 500년 이상 지속된 것은 매우 보기 드문 유례이다. 이러한 유구한 역사를 가진 조선 왕조에는 27대 왕과 왕비 및 추존왕과 왕비가 있는데, 이 왕족의 무덤을 조선왕릉이라 한다.
왕족의 무덤은 왕실의 위계에 따라 능, 원, 묘로 분류된다.
능(陵)은 추존왕, 추존왕비를 포함한 왕과 왕비의 무덤이고, 원(園)은 왕세자와 왕세자비, 그리고 왕의 사친(私親:종실로서 임금의 자리에 오른 임금의 생가 어버이)의 무덤을 말한다. 묘(墓)는 나머지 왕족, 즉 왕의 정궁의 아들, 딸인 대군과 공주, 왕의 서자, 서녀인 군과 옹주, 왕의 첩인 후궁, 귀인 등의 무덤을 일컷는다.
인류의 문화유산으로서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인정받아 '세계문화 및 자연유산의 보호에 관한 협약'에 따라 2009년 6월 30일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519년의 역사를 지닌 조선은 유교를 통치이념으로 삼아 조상에 대한 존경과 숭모를 매우 중요한 가치로 여겨 역대 왕과 왕비의 능을 엄격히 관리하였다. 그리하여 42기의 능 어느 하나도 훼손되거나 인멸되지 않고 모두 제자리에 완전하게 보전되었다.
조선왕릉은 우리의 전통문화를 담은 독특한 건축양식과 아름다운 자연이 어우러진 공간으로 600여 년 전의 제례가 오늘날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는 살아있는 문화유산이다.
▷ 조선왕릉의 분포
조선 왕족의 무덤은 모두 119기에 이르며, 이 가운데 능이 42기이고, 원이 13기이며, 묘가 64기이다.
조선 왕족의 무덤은 무덤 주인의 신분에 따라 그 명칭을 달리하는데 능(陵)은 왕과 왕비의 무덤, 원(園)은 왕세자와 왕세자빈 또는 왕의 사친의 무덤, 그 외 왕족의 무덤은 일반인의 무덤처럼 묘(墓)라고 한다.
42기의 능 가운데 북한 개성에 있는 제릉(태조 원비 신의왕후의 능), 후릉(정종과 정안왕후의 능)을 제외한 40기의 능이 남한에 있다.
남한에 위치한 40기의 왕릉 중 강원도 영월에 위치한 장릉(단종의 능)을 제외한 39기의 능이 서울과 경기도 일원에 자리를 하고 있다. 500년이 넘는 한 왕조의 무덤이 이처럼 온전하게 보전되어 있는 것은 세계에 그 유래를 찾기 힘들며 문화사적 가치가 매우 높다.
▷ 조선왕릉의 제향
조선왕릉의 가치는 형태적 보존에만 있지 않고, 조선왕릉을 더욱 더 빛나게 하는 것은 600년 넘게 이어져 내려온 조선왕릉의 제례의식이다.
조선은 건국 이래 산릉제례를 엄격하게 지켜왔으며, 1945년 해방 후에는 '전주이씨대동종약원'이 기일에 올리는 제사인 능기신제(陵忌辰祭)의 전통을 이어받아 오늘에 이르고 있다.
매년 왕과 왕비의 제향일에 산릉제례가 엄격하게 행해진다.
▷ 조선왕릉의 구성
조선왕릉은 죽은 자가 머무는 성(聖)의 공간과 산 자가 있는 속(俗)의 공간이 만나는 곳으로 그 공간적 성격에 따라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 능침공간 : 왕과 왕비의 봉분(능침, 능상)이 있는 성역 공간
** 제향공간 : 죽은 자와 산 자가 함께 하는 영역으로 제사를 지내는 공간(정자각)
▲ 밖에서 바라본 현재 장릉관리사무소로 사용중인 김포 장릉 진입공간인 재실 전체 전경
▲ 김포 장릉 재실 옆의 연지
** 진입공간 : 왕릉의 관리와 제례 준비를 위한 공간(재실)
「장릉 재실(齋室)」
조선왕릉 재실은 왕릉을 지키고 관리하는 영(令, 종5품)과 참봉(參奉, 종9품)의 거처이며, 제례시에는 제관들이 머물며 제계하고 제수를 미리 마련하여 갖추어 두는 곳으로 왕릉의례를 위한 준비공간이며 임금이 내려준 축문과 향을 보관하는 안향청, 제기를 보관하는 제기고, 행랑채 등이 있다.
장릉 재실은 정면 5칸, 측면 2칸의 10칸 규모이며, 장대석으로 쌓은 기단은 정면과 좌측면이 장대석 2벙대 쌓기를 했고 배면과 우측면은 1벌대로 지형에 맞쳐 기단을 쌓았다.
재실 평면은 방 2칸, 대청 2칸, 외대청 1칸, 부엌 1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방 2칸은 대청 좌,우측에 1칸씩 배치되어 있고 온돌방 구조이다.
【 방문일자 】2014년 12월 13일(토)
【 관람정보 】
*관람시간 : (매주 월요일 휴관)
2월~5월,9월~10월:9시~18시(매표:9시~17시)/6월~10월:9시~18시30분(매표:9시~17시30분)/11월~1월:9시~17시30분(매표:9시~16시30분)
*관람요금 : 어른(19~64세) \1,000
*문의(김포장릉관리소) : T.031)984-2897
▲ 김포 장릉 안내도
*교통안내 :
- 지하철 : 송정역(5호선) 1번출구에서 버스 #1번, 2번, 6번, 7번, 8번, 9번, 60번, 66번, 69번, 1002번 환승-김포시청 또는 장릉 입구 하차-도보 20분
【 소재지 】경기도 김포시 풍무동 장릉로 79(풍무동 산 141)
【 김포 장릉 탐방코스 】매표소-(산책로)→재실/관리사무소→연지-(산책로)→저수지→장릉→매표소
▲ 김포 장릉의 산책로
▲ 김포 장릉 내 저수지를 끼고 이어지는 산책로
【 김포 장릉 소개 】
*사적 제202호(1970년5월26일 지정)/유네스코 세계유산(2009년6월30일 지정)
*면적:522,297㎡
조선시대 왕릉으로 추존 원종(元宗 1580~1619)과 인헌왕후(仁獻王后 1578~1626)의 능이다.
▲ 산책로에서 바라본 장릉 전경(사진 上)
홍살문을 통해본 참도와 정자각(사진 中)
금천교 건너 바라본 장릉 전경(사진 下)
원종은 광해군11년(1619) 12월 29일 40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그 이듬해 2월 양주군 곡촌리에 장사지냈는데, 그로부터 3년 뒤 큰 아들 능양군이 인조반정으로 광해군을 폐위시키고 왕위에 오르게 되었다. 아들이 왕위에 오름에 따라 대원군에 봉해졌으며, 묘가 원으로 추승되어 흥경원(興慶園)이라 하였다.
▲ 2007년 발견된 인헌왕후 육경원 비석 받침돌
- 인조의 어머니인 연주부부인 구씨(추존 인헌왕후)가 인조5년(1626) 승하하자 무덤의 이름을 육경원이라 하고 이곳 김포에 예장하였다. 다음 해 인조6년(1627) 인조의 아버지 정원대원군(추존 원종)의 무덤 홍경원을 양주 곡촌리(현 남양주시 금곡동)에서 육경원으로 옮겨와 두 원을 합하여 홍경원으로 하였다.
인조10년(1632)에 홍경원이 장릉으로 격상되면서 종전에 있던 석물들 중 사용하지 않게 된 일부를 능 좌측 언덕에 묻었는데, 세월이 지나면서 육경원의 비석 받침돌이 2007년 지상으로 노출되어 비각 옆으로 옮겨서 보관하고 있다.
인조4년(1626) 1월 14일에는 경희궁 회상전에서 원종의 부인이 49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는데, 같은 해 5월 18일 김포 성산의 언덕에 안장하고 원호를 육경원이라 하였다.
그로부터 1년 후 흥경원을 이곳 성산으로 천장하여 쌍릉을 조영하면서 원호를 흥경원이라 합칭하게 되었다.
인조10년(1632) 이귀 등의 주청에 따라 다시 원종으로 추종하여 능호를 장릉이라 하고 석물을 왕릉제로 개수하였다.
▲ 김포 장릉 능침 전경
▲ 김포 장릉 능침의 석물들(左로부터... 망주석, 무인석, 문인석)
▲ 김포 장릉 능침의 석물들(左로부터... 석마, 석양, 석호)
▲ 김포 장릉 능침의 석물들(左로부터... 장명등, 혼유석)
봉분은 병풍석과 난간석없이 호석(봉분 주위를 둘러 막는 돌)만 두르고 있는데, 이것은 왕이 아니었던 왕의 아버지, 즉 대원군의 묘제를 따른 것이다.
문인석은 머리에 복두를 착용하고 공복을 입은 채 석마와 나란히 서 있으며, 무인석은 장군의 형상으로 투구와 갑옷을 입고 있다. 문무석 모두 무표정한 얼굴에 위엄이 서 있다.
▲ 경사진 지형에 따라 계단식으로 조성된 참도
홍살문에서 정자각까지 이르는 길인 참도가 다른 능과는 달리 약간의 경사진 계단식 형태이다. 정자각이 상대적으로 조금 높은 곳에 지어졌기 때문이다.
▲ 정자각
정자각 동쪽에 자리한 비각은 비석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각으로, 비문을 통해 능의 주인공과 그의 생전 행적을 알 수 있다. 비면에는 '조선국 원종대왕장릉 인헌왕후좌(朝鮮國 元宗大王章陵 仁獻王后左)'라고 쓰여 있으며, 영조29년(1753)에 세워졌다.
▲ 김포 장릉의 수복방과 비각
▲ 비각 내 비
제향일은 매년 10월 5일(양력)이다.
원종(元宗 1580~1619)
선조13년(1580) 6월 22일 경복궁 별전에서 선조의 다섯째 아들로 태어났다. 선조23년(1590) 11세에 가례를 올렸다.
어릴 때부터 용모가 남다르고 태도가 신중하였으며, 부모에 대한 효도와 형제에 대한 우애가 남달랐다고 한다. 임진왜란으로 피난길에 올라 험난한 시기를 겪고 선조28년(1595) 겨울에 다시 도성으로 돌아왔다.
임진왜란 때 부왕 선조가 의주로 피난을 떠나게 되었는데, 이 때 선조는 신하들에게 명하여 원종(정원군)을 영변으로 데려가 왜적을 피하도록 하였다. 그 때 정원군이 영변에 이르러 울면서 말하기를 "이곳에 온 것은 내가 살기 위해 온 것이 아니라, 임금님의 명령 때문이었다. 지금 왜적의 형세가 날로 성하고 임금의 행차는 날로 멀어지니, 만에 하나 일이 잘못된다면 임금과 신하가 죽음과 삶을 같이 하지 못할 것인데, 이 몸이 간들 어디로 가겠습니까? 죽더라도 눈을 감지 못할 것이다."라고 하였다.
선조는 이를 전해듣고 가상히 여겨 정원군을 다시 불러왔으며, 그 뒤로 정원군은 선조의 곁을 떠나지 않고 전쟁이 끝날 때까지 그를 옆에서 모셨다고 한다. 임진왜란이 끝나고 한양으로 돌아오자, 선조37년(1604) 선조를 호종한 공으로 호성공신에 봉해졌다.
1608년 광해군이 왕위에 올랐는데, 그로부터 7년 후 원종의 세째 아들 능창군을 황해도 수안군수 신경희가 왕으로 추대하려 했다는 무고로 인하여 커다란 옥사가 발생하여 능창군은 강화도로 유배당하여 스스로 목숨을 끊었고, 원종의 집안은 풍비박산이 났다.
그후 원종은 몸져누워 광해군11년(1619) 12월 29일 40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인헌왕후(仁獻王后 1578~1626)
능원부원군 구사맹의 딸로 선조11년(1578) 4월 17일 태어났다. 선조23년(1590) 정원군(후에 원종으로 추존)과 가례를 올리고 연주군부인에 봉해졌다.
첫째 아들인 능양군이 인조반정으로 왕위에 오르자, 인조원년(1623)에 연주부부인으로 진봉되었다.
그러나 세째 아들 능창군이 역모에 휘말려 유배 후 스스로 목숨을 끊고, 이에 충격을 받은 남편이 일찍 게상을 뜨는 등 불행한 일이 잇달아 일어나자 인조4년(1626) 1월 14일 경희궁 회상전에서 49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훗날 이조판서 이귀의 주청으로 부군인 정원군이 원종으로 추존됨에 따라 인헌왕후로 추봉되었다.
◈ 실록으로 엿보는 왕 과 비
광해군은 우여곡절 끝에 왕위에 오르게 되지만 늘 왕위를 위협받는다고 여겼다. 그러한 차에 이복동생 정원군의 집터에 왕기가 서렸다는 말은 뜬 소문일지라도 쉽사리 넘길 수 있는 문제가 아니었다.
더욱이 정원군의 셋째 아들 능창군은 성품이 호탕하고 인물이 훤칠하며 무예가 뛰어나다는 평을 받고 있었다. 황해도 수안군수 신경희 등이 능창군을 왕으로 추대하려 한다는 상소까지 올라온 상황이었으니, 광해군은 더 망설임없이 능창군을 강화도로 유배 보내고 왕기가 서려있다는 정원군의 집을 몰수하여 자신의 궁궐을 지었다. 1615년의 일이다.(광해군일기)
강화도로 유배된 아들이 목숨을 잃고, 집까지 뺏기게 되는 비극 앞에서도 어쩔 수 없었던 이가 있었으니 그가 바로 정원군 원종이다. 한때 아버지 선조의 사랑을 듬뿍 받았던 아들이었으나, 그의 버팀목이 되어주었던 선조는 이제 무덤에서 아무 말이 없었다. 사랑하는 아들을 잃고 살 곳마저 빼앗겼으나 정원군의 심정을 알아줄 이는 어디에도 없었다.
광해군이 또 무슨 죄목을 들어 나머지 아들들을 해할지 모른다는 생각에 정원군의 삶은 하루하루가 벼랑 앞의 등불과도 같은 날들이었다.
그는 늘 말하기를 "나는 해가 뜨면 간밤에 무사하게 지낸 것을 알겠고 날이 저물면 오늘이 다행이 지나간 것을 알겠다. 오직 바라는 것은 일찍 집의 창문 아래에서 죽어 지하의 선왕을 따라 가는 것일 뿐이다" 하였다 한다.(광해군일기, 광해군11년 12월29일)
결국 정원군은 걱정과 불안의 나날을 가까스로 버티다가 40세 한창 나이에 세상을 등지고 만다.
그로부터 4년 뒤인 1623년 동생과 아버지의 애통한 죽음을 기억하는 정원군의 맏아들 능양군이 반정을 일으켜 스스로 왕위에 오르니 그가 바로 조선 제16대 임금 인조이다. 정원군의 집터에 서린 왕의 기운이 능양군을 가르켰다는 것을 광해군은 마처 예상하지 못했던 것이다.
인조가 왕위에 올라 여러 반대를 무릎쓰고 감행한 일은 아버지 정원군을 원종으로 추존하는 일이었다. 그리하여 정원군은 왕으로 ㅜ존되고 원종이라는 묘호를 얻게 된다. 또한 그의 무덤은 흥경원에서 '장릉'으로 격상될 수 있었다.
인조반정에 역사가에게 어떠한 평가를 받을 지 몰라도 적어도 정원군에게는 피 맺힌 원한을 푸는 순간이 되었다.
◈ 추존왕의 능
추존왕(追尊王)이란 실제로 왕위에 오르지는 못했지만, 죽은 뒤에 묘호가 내려진 왕을 말한다.
어떠한 인물을 왕으로 추존하는 것일까?
조선의 추존왕은 모두 9명이다. 이들은 왕위에 오르지 못하고 세자의 신분으로 일찍 세상을 떠났거나, 반정으로 왕위에 오른 왕의 아버지, 그리고 태조 이성계의 4대 선조이다.
왕으로 추존된 이들은 종묘에 신위를 모셔서 왕위에 오른 왕과 똑같은 대우를 했다. 뿐만 아니라 이미 세자나 대군묘의 예로 조영된 능을 왕릉의 상설에 맞게 규모를 키우거나 석물을 추가하여 능도 더우 위엄을 갖추게 되었다. 태조 이성계의 4대 선조인 목조, 익조, 도조, 환조를 제외한 조선의 추존왕은 5명으로 다음과 같다.
반정을 통해 왕위에 오른 인조의 아버지 원종(元宗)
장릉에 잠들어 있는 추존왕 원종은 선조의 다섯째 아들로 1587년 정원군에 봉해졌으며, 40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그런데 세상을 떠난지 4년 후, 아들인 능양군이 반정 세력의 추대를 받아 조선 16대 왕 인조로 즉위하자 정원대원군으로 추존되었으며, 9년 후 원종으로 추존되었다. 인조는 반정을 통해 왕위에 올랐고 그의 선왕인 광해군이 폐위된 터라 정통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아버지를 왕으로 세울 수 밖에 없었다.
삼촌의 왕위를 계승한 성종의 아버지 덕종(德宗)
덕종은 세조의 맏아들로 의경세자에 봉해졌다. 그러나 세자로 책봉된지 얼마 되지 않아 20세의 꽃당ㄴ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그의 동생인 예종이 세조의 뒤를 이어 왕이 되었으나 예종 역시 1년 남짓한 재위 기간을 채운 뒤 병사하였다.
의경세자에게는 월산대군과 잘산군 두 아들이 있었는데, 대비는 둘째 아들인 잘산군으로 하여금 예종의 뒤를 잇게 하였고, 그가 9대 왕인 성종이다. 성종이 왕위에 오른 뒤 의경세자는 덕종으로 추존되었다.
동생의 아들로 인해 추존된 진종(眞宗)
진종은 영조의 맏아들로 1719년 태어나 1924년 경의군에 봉해졌다. 그리고 그 이듬해에 세자로 책봉되었다. 그러나 10세의 어린 나이에 세상을 떠나자 효장세자로 봉해졌다. 후에 그의 이복동생인 사도세자가 왕세자가 되었으나 그마저 즉위하지 못하고 죽자, 사도세자의 아들이 제22대 임금 정조로 즉위하였다.
정조는 영조의 유언에 따라 효장세자의 양자로 입적되고, 효장세자를 진종으로 추존하였다.
1899년에는 고종이 황제로 등극하면서 진종소황제로 추존되었다.
비극적인 죽음을 맞았던 정조의 친아버지 장조(莊祖)
장조는 형인 효장세자가 죽자 1736년 세자로 책봉된 후 대리청정을 하는 등 활발한 정치활동을 벌였으나, 당쟁의 희생양으로 왕위에 오르지 못한 채 1762년 28세의 나이에 비극적인 죽음을 맞았다.
1776년 아들인 정조가 즉위한 후 그를 장헌세자로 추존하였으며, 1899년 고종이 황제로 등극하면서 장조의황제로 추존되었다.
헌종의 아버지 익종(翼宗)
익종은 순조의 아들로, 태어난지 3년만인 순조12년(1812)에 세자로 책봉되었다. 순조27년(1827)에는 순조를 대신하여 대리청정하였으나 아버지인 순조보다 일찍 세상을 떠나 1830년 효명세자로 추존되었다.
1834년에는 아들인 헌종이 즉위하면서 익종으로 추존되었고, 1899년 고종이 황제로 등극하면서 문조익황제로 주촌되었다.
'내가 찾은 관광명소 > 세계유산 조선왕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유산 조선왕릉! 서울 선릉(宣陵)과 정릉(靖陵) (0) | 2015.01.03 |
---|---|
세계유산 조선왕릉! 서울 태릉(泰陵)과 강릉(康陵) (0) | 2015.01.03 |
세계유산 조선왕릉! 파주 삼릉(坡州 三陵) (0) | 2014.11.29 |
세계유산 조선왕릉! 영월 장릉(莊陵) (0) | 2013.08.17 |
세계유산 조선왕릉! 고양 서삼릉(西三陵) (0) | 2012.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