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한라산과 제주오름 36

제주오름<15> 약초가 자생하는 오름! 백약이오름

◀ 백약이오름(百藥岳) ▶ 100가지 이상의 약초가 자생하는 오름!!! 【 백약이오름 소개 】 *소재지: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리 산1번지 *표고:356.9m/비고:132m/둘레:3,124m/면적:581,463㎡/저경:1,089m *분화구 형태:원형 백약이오름은 표선면 성읍2리 입구에서 북동쪽 약 3.5km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구좌읍 송당리와의 접경에 위치한 오름으로, 19세기에 편찬된 『탐라지초본』에는 “백야기오롬은 정의현성 동북쪽 13리에 있다. 예로부터 100가지 이상의 약초가 자생하고 있다고 하여 백약이오름(百藥岳)이라 불리운다. 백약이오름의 본디 이름은 ‘개여기 오롬’인데, 19세기부터 ‘백야기 오롬’이라 하여 바뀐 이름이 오늘날에까지 전해지고 있다. ‘개여기’ 또는 ‘개역이’의 ..

제주오름<14> 억새가 아름다운 들불축제의 명소! 새별오름

◀ 새별오름 ▶ 억새가 아름다운 들불축제의 명소 !!! 【 새별오름 소개 】 *소재지: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봉성리 산59-8번지 *표고:519.3m/비고:119m/둘레:2,713m/면적:522,216㎡/저경:954m *분화구 형태:복합형 새별오름은 바리메오름·누운오름·당오름·금오름 등 많은 오름이 밀집해 있는 서부 중산간 오름지대 중에서 으뜸가는 서부의 대표 오름이다. 저녁하늘에 샛별과 같이 외롭게 서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풍경이 아름답고, 성이시돌목장, 왕따나무가 근처에 있어 관광객이 많이 찾는 오름 중 하나로 경사가 약간 있으나 높이는 해발 519.3m(정상까지 소요시간은 30분 내외)로 그리 높지 않다. 정상에 오르면 제주도 서쪽 아름다운 해변과 비양도가 보인다. 남봉을 정점으로 ..

제주오름<13> 아름다운 숲의 오름! 저지오름

◀ 저지오름(닥몰오름, 새오름) ▶ 비양도와 한라산이 조망되는 아름다운 숲의 오름!!! 저지오름 둘레길 동영상 【 저지오름 소개 】 *소재지: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경면 저지리 산51번지 *표고:239.3m/비고:104m/둘레:2,542m/면적:379,316㎡/저경:621m *분화구 형태:원형 오름은 제주 여행의 필수 코스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그 중 제주올레 13코스의 종점에 위치한 저지오름은 많은 사람들이 찾는 만큼 아름다운 풍경을 자랑하는 오름 중 한 곳이며, 2005년에는 생명의 숲으로 지정되었고, 2007년 제8회 아름다운 숲 전국대회에서 대상(생명상)을 받았다. 오름 각 사면에는 해송이 주종을 이루며 잡목과 함께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으며, 분화구 안에는 낙엽수림과 상록수림이 울창한 자연림..

한라산(漢拏山) 어승생악코스 & 제주오름<12> 어승생오름

한 라 산(漢拏山) 어승생악코스 높 이 1169m 소 재 지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해안동 【 개관 및 어승생오름 소개】 한라산은 섬 전체가 화산활동으로 이루어졌으며 화산암인 현무암과 조면암으로 덮여 있고 암석의 양상도 곳에 따라 차이가 나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섬인 제주도에 위치한 남한에서 제일 높은 산이다. 정상에는 화산의 분화구에 생긴 백록담이 있고, 사라오름, 어슬렁오름, 어승생오름 등 수백개의 기생화산이 있으며, 정상에서 서쪽으로 약 3km 떨어진 지점에는 유명한 영실기암이 있고, 유채꽃과 철쭉군락 및 설경이 절경을 이루는 산이다. 계곡은 탐라를 위시하여 사방으로 있으나, 물은 복류되고 건천을 이루어 특이하고, 광활한 초원지대와 과수단지, 1,700여종의 식물들로 이룩된 원시의 산림지대와 계절따..

제주오름<11> 자연이 숨쉬는 한라수목원을 품은 오름! 광이오름

◀ 광이오름(괭이오름, 肝列岳) ▶ 자연이 숨쉬는 한라수목원을 품은 산책하기 좋은 오름!!! ▲ 광이오름 정상에서 바라본 구름에 덮힌 한라산(사진 上) 제주시가지(사진 下) 【 광이오름 소개 】 *소재지: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연동 산62번지 *표고:266.8m/비고:77m/둘레:1,970m/면적:236,701㎡/저경:669m *분화구 형태:말굽형(남동향) 남짓은오름 뒷편으로 맞대어 이웃해 있는 오름으로 등성마루가 평평하고 남동쪽으로 벌어진 말굽형 화구를 이루고 있다. 오름 남서쪽 기슭에 거슨샘이라는 샘이 있고, 오름 기슭자락에는 한라수목원이 제주도 자생식물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조성되어 있다. 거슨샘이의 의미는 샘솟는 방향이 저지대인 북쪽이 아니고 한라산쪽으로 거슬어 올라간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

제주오름<10> 애월의 숲을 지배하는 오름!!! 노꼬메오름

◀ (큰)노꼬메오름 ▶ 애월의 숲을 지배하는 오름!!! ▲ 오름입구에서 바라본 노꼬메오름(사진 上) 노꼬메오름 정상에서 바라본 한라산과 노꼬메오름 분화구 능선(사진 下) 【 노꼬메오름 소개 】 *소재지: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유수암리 산138번지 *표고:838.8m/비고:234m/둘레:4,390m/면적:923,692㎡/저경:1,193m *분화구 형태:말굽형 큰노꼬메오름은 제주 북서쪽 중산간에 위치해 있으며 바로 옆에 족은노꼬메오름이 나란히 서 있는데, 높고 뾰족한 오름이 큰노꼬메오름이고 그 옆의 낮은 오름이 족은노꼬메오름이다. ​​​​ 노꼬메오름은 통상적으로 큰노꼬메오름을 일컬으며, 해발 800m의 높이와 가파른 사면을 이루고 두 개의 봉우리를 품고 있는 큰 화산체로 북쪽의 봉우리가 주봉으로 정상이..

한 라 산(漢拏山, 1950.1m) 석굴암코스/제주도

한 라 산(漢拏山) 석굴암코스 높 이 1950.1m 소 재 지 제주도 【 개 관 】 섬 전체가 화산활동으로 이루어졌으며 화산암인 현무암과 조면암으로 덮여 있고 암석의 양상도 곳에 따라 차이가 나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섬인 제주도에 위치한 남한에서 제일 높은 산이다. 정상에는 화산의 분화구에 생긴 백록담이 있고, 사라오름, 어슬렁오름, 어승생오름 등 수백개의 기생화산이 있으며, 정상에서 서쪽으로 약 3km 떨어진 지점에는 유명한 영실기암이 있고, 유채꽃과 철쭉군락 및 설경이 절경을 이루는 산이다. 계곡은 탐라를 위시하여 사방으로 있으나, 물은 복류되고 건천을 이루어 특이하고, 광활한 초원지대와 과수단지, 1,700여종의 식물들로 이룩된 원시의 산림지대와 계절따라 변모하는 아름다움이 있다. 성산일출봉, 사..

제주오름<9> 제주 동부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오름! 두산봉 알오름

◀ 두산봉(頭山峰) 알오름 ▶ 제주 동부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오름!!! ▲ 알오름에서 바라본 세화리에서 성산리까지 이어지는 해안 경관(사진 上) 알오름에서 바라본 우도와 성산일출봉(사진 下) 【 두산봉(頭山峰) 알오름 소개 】 *소재지: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 시흥리 산1-5번지*표고:145.9m/비고:51m/둘레:1,613m/면적:142,515㎡/저경:463m*분화구 형태:원추형 성산읍 시흥리 시흥초등학교 뒤편에 위치한 오름으로, 시흥초등학교 남쪽으로 난 농로를 따라가면 오름 정상까지 오를 수 있으며, 이길은 오름 분화구내를 관통하여 구좌읍 종달리로 연결되어 있다. 이 오름은 응회환으로 된 수중분화구 내부에 이차적으로 생성된 화구구(火口丘)인 분석구를 갖고 있는 전형적인 이중식 화산체이다. 동사..

제주오름<8> 제주올레 1코스의 마스코트! 올레길에서 만난 두산봉(말미오름)

◀ 두산봉(頭山峰, 말미오름) ▶ 제주올레 1코스의 마스코트!!! ▲ 두산봉 정상에서 조망된 성산일출봉 일대 【 두산봉(頭山峰 말미오름) 소개 】 *소재지: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 시흥리 산1-5번지 *표고:126.5m/비고:101m/둘레:3,631m/면적:924,938㎡/저경:1,232m *분화구 형태:복합형 응회..

제주오름<7> 제주섬의 꼬리(땅끝)! 지미봉(地尾峰)

◀ 지미봉(땅끝, 地尾峰) ▶ 제주섬의 꼬리!!! ▲ 지미봉 정상에서 내려다본 우도 쇠머리오름, 종달리포구 그리고 성산일출봉 【 지미봉(地尾峰) 소개 】 *소재지: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종달리 산 3-1번지 *표고:165.8m/비고:160m/둘레:2,636m/면적:423,814㎡/저경:907m *분화구 형태:말굽형(북향) 제주시 구좌읍 종달리 종달마을 입구 동북방향에 위치한 오름이다. 산위 등성이는 원뿔 모양의 동쪽 봉우리가 주봉(정상)이다. 북쪽에서 바라보면 2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졌고, 서북쪽 기슭에는 하도리 창흥동 양어장이 있으며, 이 지역은 철새도래지(둘레 약 3,700m, 면적 약 369,000㎡)로서, 겨울이 되면 겨울 철새인 저어새, 도요새, 청둥오리, 등이 날아와 겨울을 지낸다. 꼭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