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찾은 관광명소/세계유산 조선왕릉

세계유산 조선왕릉! 남양주 사릉(思陵)

왕마구리 2015. 1. 6. 10:31

◀ 세계유산 조선왕릉 남양주 사릉(南陽州 思陵) ▶

 

                         ▲ 남양주 사릉 전체 전경

 

조선왕릉은 우리나라에 현존하는 왕릉 가운데 가장 완전한 형태를 갖추고 있는 고유의 유적이다. 왕릉 개개의 완전성은 물론이고 한 시대의 왕조를 이끌었던 역대 왕과 왕비에 대한 왕릉이 모두 보존되어 있다는 점에서 더욱 큰 가치를 지닌다.

1392년 고려 왕조가 막을 내리고 탄생한 조선 왕조는 이후 1910년까지 무려 519년이라는 장구한 세월을 이어갔다.

이처럼 하나의 왕조가 500년 이상 지속된 것은 매우 보기 드문 유례이다. 이러한 유구한 역사를 가진 조선 왕조에는 27대 왕과 왕비 및 추존왕과 왕비가 있는데, 이 왕족의 무덤을 조선왕릉이라 한다.

왕족의 무덤은 왕실의 위계에 따라 능, 원, 묘로 분류된다.

능(陵)은 추존왕, 추존왕비를 포함한 왕과 왕비의 무덤이고, 원(園)은 왕세자와 왕세자비, 그리고 왕의 사친(私親:종실로서 임금의 자리에 오른 임금의 생가 어버이)의 무덤을 말한다. 묘(墓)는 나머지 왕족, 즉 왕의 정궁의 아들, 딸인 대군과 공주, 왕의 서자, 서녀인 군과 옹주, 왕의 첩인 후궁, 귀인 등의 무덤을 일컷는다.

 

인류의 문화유산으로서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인정받아 '세계문화 및 자연유산의 보호에 관한 협약'에 따라 2009년 6월 30일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다.

519년의 역사를 지닌 조선은 유교를 통치이념으로 삼아 조상에 대한 존경과 숭모를 매우 중요한 가치로 여겨 역대 왕과 왕비의 능을 엄격히 관리하였다. 그리하여 42기의 능 어느 하나도 훼손되거나 인멸되지 않고 모두 제자리에 완전하게 보전되었다.

조선왕릉은 우리의 전통문화를 담은 독특한 건축양식과 아름다운 자연이 어우러진 공간으로 600여 년 전의 제례가 오늘날까지 이어져 내려오고 있는 살아있는 문화유산이다.

 

 

▷ 조선왕릉의 분포

조선 왕족의 무덤은 모두 119기에 이르며, 이 가운데 능이 42기이고, 원이 13기이며, 묘가 64기이다.

조선 왕족의 무덤은 무덤 주인의 신분에 따라 그 명칭을 달리하는데 능(陵)은 왕과 왕비의 무덤, 원(園)은 왕세자와 왕세자빈 또는 왕의 사친의 무덤, 그 외 왕족의 무덤은 일반인의 무덤처럼 묘(墓)라고 한다.

42기의 능 가운데 북한 개성에 있는 제릉(태조 원비 신의왕후의 능), 후릉(정종과 정안왕후의 능)을 제외한 40기의 능이 남한에 있다.

남한에 위치한 40기의 왕릉 중 강원도 영월에 위치한 장릉(단종의 능)을 제외한 39기의 능이 서울과 경기도 일원에 자리를 하고 있다. 500년이 넘는 한 왕조의 무덤이 이처럼 온전하게 보전되어 있는 것은 세계에 그 유래를 찾기 힘들며 문화사적 가치가 매우 높다.

▷ 조선왕릉의 제향

조선왕릉의 가치는 형태적 보존에만 있지 않고, 조선왕릉을 더욱 더 빛나게 하는 것은 600년 넘게 이어져 내려온 조선왕릉의 제례의식이다.

조선은 건국 이래 산릉제례를 엄격하게 지켜왔으며, 1945년 해방 후에는 '전주이씨대동종약원'이 기일에 올리는 제사인 능기신제(陵忌辰祭)의 전통을 이어받아 오늘에 이르고 있다.

매년 왕과 왕비의 제향일에 산릉제례가 엄격하게 행해진다.

▷ 조선왕릉의 구성

조선왕릉은 죽은 자가 머무는 성(聖)의 공간과 산 자가 있는 속(俗)의 공간이 만나는 곳으로 그 공간적 성격에 따라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 능침공간 : 왕과 왕비의 봉분(능침, 능상)이 있는 성역 공간

   ** 제향공간 : 죽은 자와 산 자가 함께 하는 영역으로 제사를 지내는 공간(정자각)

   ** 진입공간 : 왕릉의 관리와 제례 준비를 위한 공간(재실)

 

 

 

                         ▲ 밖에서 바라본 재실 전체 전경(사진 上)

                            담장 너머로 바라본 재실(사진 下) ※ 현재 재실은 내부 탐방이 불가능하다

 

【 방문일자 】2015년 1월 1일(목)

【 관람정보 】

*관람시간 : (매주 월요일 휴관)

                  2월~5월,9월~10월:9시~18시(매표:9시~17시)/6월~10월:9시~18시30분(매표:9시~17시30분)/11월~1월:9시~17시30분(매표:9시~16시30분)

*관람요금 : 어른(19~64세) \1,000

*문의(조선왕릉 동부지구관리소 사릉) : T.031)573-8124

 

                         ▲ 남양주 사릉 설경(출처:문화재청)

 

*교통안내 :

  - 전철 : 도농역(중앙선), 금곡역(경춘선)에서 하차, 길 건너 버스 #23번 또는 마을버스 #77번, 55번, 7-4번 환승-송능교, 적성골입구 하차

【 소재지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사릉로180

【 남양주 사릉 탐방코스 】매표소→사릉→재실→매표소 

【 남양주 사릉 소개 】

*사적 제209호(1970년5월26일 지정)/유네스코 세계유산(2009년6월30일 지정)

*면적:160,232㎡

조선시대 왕릉으로 단종의 비 정순왕후(定順王后 1440~1521)의 단릉 형식이다.

처음에는 단종의 누이인 경혜공주가 출가한 해주 정씨 묘역이었던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사능리에 민간 신분의 묘로 조성되었다. 그 후 중종 때 대군 부인의 예로 복위되고, 숙종 때(1698) 왕후의 능으로 추봉되었기 때문에 다른 능에 비하여 단출하면서 검소하다.

 

                         ▲ 남양주 사릉 능침

 

능침의 규모는 매우 작고, 병풍석 난간석을 설치하지 않았으며, 문석인과 석마만이 자리 잡고 있다. 양석과 호석도 한 쌍 씩으로 간소화 되어 있다.

사릉의 정자각은 맞배지붕으로 되었으며 배위가 짧기 때문에 전체 건물이 정(丁)자형 보다는 정사각형의 느낌을 준다.

 

 

 

                         ▲ 남양주 사릉 정자각

 

정자각으로 연결된 신도 및 어도가 동계와 연결되지 않고 끊어져 있다. 사릉은 문화재청이 관할하는 궁과 능에 필요한 나무를 기르는 양묘사업소 묘포장이 있어서 많은 전통 수종의 식물들을 볼 수 있는 곳이다.

 

 

정순왕후는 중종16년(1521) 6월 4일 소생없이 승하하였다.

중종은 단종부터 7대에 걸친 왕대를 산 정순왕후를 대군부인의 예로 장례를 치렀다. 정순왕후는 후사가 없었으므로 경기도 양주 남쪽 군장리에 있는 단종의 누이 경혜공주의 시가인 해주 정씨의 가족 묘역에 안장하고 제사를 지내 주었다.

숙종24년(1698) 11월 6일 숙종에 의해 노산군이 단종대왕으로 복위되자 부인도 정순왕후로 복위되었으며, 신위는 창경궁에 모셔져 있다가 종묘에 안치되었다. 평생 단종을 생각하며 일생을 보냈다 하여 능호를 사릉(思陵)이라고 붙였다. 그 후 1986년부터 사릉이 일반에 공개되었다.

 

 

                         ▲ 남양주 사릉 비각과 비

 

◈ 정순왕후(定順王后) 송씨

생몰년도 : 1440~1521년

판돈녕부사 송현수의 딸로 세종22년(1440)에 태어났다.

단종원년(1453) 14세의 나이에 타고난 성품과 검소의 미덕을 인정받아 간택되었고, 그 다ㅡㅁ해에 어린 나이로 왕비에 책봉되었다. 그러나 당시는 단종의 숙부였던 수양대군이 영의정의 자리에 앉아 조정을 좌지우지하던 때였으므로, 단종과 정순왕후 부부는 스스로 아무 일도 결정할 수 없었다. 결국 단종3년(1455) 6월 11일 단종은 수양대군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상왕이 되어 수강궁에 머무르게 되었다.

그로부터 2년 후인 세조3년(1457) 사육신의 주동으로 단종의 복위를 모의하던 사건이 발각되자, 단종은 노산군으로 강봉되어 영월에 유배되고, 정순왕후는 부인으로 강봉되었다.

궁궐을 나온 정순왕후는 동대문 밖의 동망봉 기슭에 초가집을 짓고 시녀들이 해 오는 동냥으로 끼니를 잇다가, 염색업을 하며 평생을 살았다. 중종16년 6월 4일 82세를 일기로 장장 7대 왕대에 걸친 삶을 마감하였다.

 

-동망봉에 얽힌 이야기-

15세에 왕비가 되었다가 18세에에 단종과 이별하고, 부인으로 강등되어 평생을 혼자 살아가야했던 불운한 인물로, 그녀의 비극에 얽힌 여러 일화가 전해진다.

단종은 세조3년(1457) 숙부인 수양대군에게 왕위를 물려주고도, 복위사건으로 인해 영월로 유배당하고 결국 유배지에서 억울한 죽음을 맞게 되었다. 이 소식을 들은 정순왕후는 아침저녁으로 산봉우리에 올라 단종의 유배지인 동쪽을 향해 통곡을 했는데, 곡소리가 산 아랫마을까지 들렸으며 온 마을 여인들이 땅을 한 번 치고 가슴을 한 번 치는 동정곡을 했다고 전한다.

훗날 영조는 왕비가 평생을 보낸 정업원터(현 서울 종로구 숭인동)에 비각을 세우고 단종이 있는 영월쪽을 보기 위해 올랐던 곳이라고 알려진 뒷산 바위에 동쪽을 바라보며 단종의 명복을 빌었다 하여 '동망봉'이란 글을 친필로 새겼으며, '동망봉'이란 이름으로 불리게 되었다.

한편, '한경지략'에 의하면 영도교 부근 부녀자들만 드나드는 금남의 채소시장이 있었다고 한다. 이는 왕비를 동정한 부녀자들이 끼니 때 마다 왕비에게 채소를 가져다주다가 궁에서 말리자 왕비가 거처하는 곳에서 멀지 않은 곳에 시장을 열어 주변을 혼잡하게 하고, 계속해서 몰래 왕비에게 채소를 전해주려는 여인들의 꾀에서 비롯되었다고 하는 일화가 전해진다.

 

-단종과 정순왕후가 영영 이별한 다리 '영도교'-

복개된 청계천에는 영도교라는 다리가 있다. 언제 세워졌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조선 초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세조4년(1458) 단종이 수양대군에게 왕위를 찬탈당하고 노산군으로 강등되어 강원도 영월로 귀양갈 때 그의 비 정순왕후가 이 다리까지 따라 왔으나, 더 이상 따라가지 못하고 다리 위에서 이별을 했다고 한다. 사람들은 단종과 정순왕후가 이 다리에서 이별한 후 다시는 만나지 못했다 하여 영영 이별한 곳 '영 이별 다리'라도 불렀다고 한다. 영이별교, 영영 건넌 다리 등으로 불렀다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그 말이 후세에 와서 '영원히 건너 가신 다리'라는 의미로 영도교라 불리게 된 것이다. 훗날 영미교라고도 불렀는데, 이 역시 영이별교의 음이 전해 내려오면서 변해 붙여진 이름인 것으로 추정된다.

영도교는 처음에는 왕심평대교라고 하며, 서울 흥인지문을 거쳐 왕십리, 뚝섬, 광나루로 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건너야 하는 다리였기 때문에 통행량이 많았다. 성종때 영도사(지금의 안암동 개운사)의 승역을 동원하여 돌다리를 놓은 뒤, 성종이 직접 영도교라는 어필을 내렸는데, 영도교는 이때 붙은 이름이다. 이후 조선시대 말까지 영도교는 서울 외곽의 주요 다리 역할을 하였으나, 흥선대원군이 경복궁을 중수할 때 다리를 부수어 궁궐의 석재로 써서 없어졌다.

지금은 영도교의 이름과 위치만 확인할 수 있을 뿐 다리의 구조나 형태 등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 현재 있는 영도교는 2005년 말에 끝난 청계천 복원사업의 일환으로 새롭게 세운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