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환상의 꿈길 여행 [바다를 가로질러] [숲으로 가는 길] [선유도 길] [봄이 오는 길목] [녹색과 회색] [비오는 날의 등교길] [논길] [일터로] [초원] [팔짝팔짝 징금다리 건너] [가을의 꿈길] [향리] [서해대교 일출] [밀밭 사이로] [설원의 터널속으로] [구리인터체인지 야경] [제부도 가는길] [꽂지의 저녁] [희망의 길] [아무도 .. 알림방/관광명소 2007.12.29
아름다운 우리강산 30곳(주간조선 연재) ** 아름다운 우리강산으로의 여행 / 주간조선이 연재한 30곳 ** 구례 화엄사의 홍매화 강화도 길상면 거제 앞바다 남해군 물건항의 멸치털이 청송 주산지의 신록 나도냉이 꽃 만발한 동강 강화도 황청리 포구 무주 구천동 계곡 경북 의성의 작약꽃 전북 무주군 덕유산 강원도 백담계곡 칠산도 괭이갈매.. 알림방/관광명소 2007.12.29
아름다운 도로로 선정된 곳 大 賞(대통령표창)/억새꽃과 삼나무 숲이 아름다운 도로 (제주 지방도 1112호선 : 비자림로) 제주도 제주시 봉개동~북제주군 평대리 / 제주도청 박용현 최우수상(국무총리표창)/산과 물이 어우러진 호반 속의 도로(국도 6호선)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용담리 / (주)유신코퍼레이션 오의진 최우수상(국무.. 알림방/관광명소 2007.12.29
건강하게 오래 사는 30가지 방법 '건강하게 오래 사는 방법 30가지' 현대인은 건강 위해 개인적, 사회적 환경을 개선하고 조절한다 보니 보약 수요가 부쩍 느는 때다. 하지만 보약보다 돈 안들이고 평소에 건강을 지키는 지혜가 더욱 필요하다. 몸이 신체적·정신적·사회적으로 이상이 없는 튼튼한 상태. 건강관은 시대에 따라 변화하.. 알림방/산행정보 및 건강상식 2007.12.28
희말라야 8000m 이상 14좌를 오른 산악인들 8000 미터 봉우리 14개를 모두 오른 세계 산악인들 이름 기간 국적 1 라인홀트 메스너 1970-1986 이탈리아 2 예지 쿠쿠츠카 1979-1987 폴란드 3 에라르 로레탕 1982-1995 스위스 4 카를로스 카르솔리오 1985-1996 멕시코 5 크리스토프 비엘리키 1980-1996 폴란드 6 훠니또 오이야르자발 1985-1999 스페인 7 세르지오 마르티니.. 알림방/산행정보 및 건강상식 2007.12.27
희말라야 8,000m이상의 14좌 1. 에베레스트 (초모룽마) Everes 8848M 위치 : 네팔 히말라야(네팔, 중국 접경) 초등(初登) 순위 : 2 (1953년) 첫 등반가 : 힐러리, 텐징 (영국 원정대) 1852년 영국 측량 부대에 의해 발견된 에베레스트산의 이름은 측지학자 에베레스트 경의 이름에서 따왔다. 본디 이름은 티벳트어로 초모룽마, '세계의 여신'이.. 알림방/산행정보 및 건강상식 2007.12.27
우리나라에는 몇 개의 산이 있을까? 산림청, 전국 산통계 발표 ‘우리나라 전국에 존재하는 산의 수는 몇 개나 될까’ 산림청이 지난 '06.10월~'07.11월까지 국토지리정보원의 자연지명 자료를 기초로 조사한 결과 우리나라 산의 수는 총 4,440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현장 숲길조사, 수치지형도 분석, 지방자치단체/지리·지형학.. 알림방/산행정보 및 건강상식 2007.12.27
계절별 등산장비 및 준비물 여기에 소개하는 계절별 산행 등산장비 리스트는 등산 장비물품 리스트입니다. 산행시 필요한 물품들은 개인마다 다를수가 있기 때문에 참고만 하시면 되겠습니다. 가능한 중배낭 이상을 권하며 물건이 남아서 가지고 되돌아 오는 경우는 �찮으나 모잘라서 고생을 해서는 안된다라는 생각을 가지고 .. 알림방/산행정보 및 건강상식 2007.12.26
기본 등산장비 소개 (1) 등산 장비 선택 요령 생활을 일시적으로 옮기는 등산에 있어 의류와 장비는 매우 중요하다. 등산 의류와 장비는 대자연속에 인간의 생명을 유지시켜 주는 도구이기 때문이다. 더욱이 산은 일상적인 주거 공간에 비해 혹독한 자연 조건과 기상 변화에 따른 수많은 위험을 간직하고 있다. 따라서 등.. 알림방/산행정보 및 건강상식 2007.12.26
등산 체력을 키우는 방법 등산 체력 등산은 다른 스포츠와 달리 경쟁 상대가 없다. 산이란 자연의 대상을 앞에 두고 자신과의 끊임없는 내적 투쟁이 있을 뿐이다. 이 때문에 등반은 전통적으로 어느 정도의 체력이 밑바탕이 되어야 한다는 일반 원칙을 받아들이면서도 체력보다는 경험과 기술에 더 많이 의존해 온 것이다. 그.. 알림방/산행정보 및 건강상식 2007.12.25